
3분기 매출 7272억원…영업손실 422억원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영업손실이 422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10일 공시했다. 하이브 제공
하이브가 월드투어 호조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올렸다. 다만 투자 확대와 일회성 비용 집행 등으로 인해 적자 전환했다.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72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늘어났다고 10일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세웠던 분기 최고 매출(7264억원)을 갈아치웠다. 올해 3분까지 누적 매출은 약 1조9300억원으로 2조원에 근접했다.
3분기 영업손실은 422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글로벌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 등이 영향을 미쳤다.
3분기 직접 참여형 매출은 477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66%를 차지했다. 공연 부문 매출은 방탄소년단 진의 글로벌 솔로 투어, 투모로우바이투게더·엔하이픈의 월드투어 등 대규모 공연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2450억원을 기록했다. 음반원 부문 매출은 아티스트의 컴백이 비교적 적었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1898억원을 기록했다.
기획상품(MD)·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매출 등 간접 참여형 매출은 24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타낸 MD·라이선싱 부문 매출은 1683억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 MD 매출 호조는 아티스트 투어 활동에 따른 투어 MD와 응원봉, IP 기반 캐릭터 상품의 판매가 견인했다.
글로벌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는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디지털 멤버십, 광고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 도입에 따른 성과다.
하이브는 3분기 422억원, 5.8%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글로벌 아티스트 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로 인해 총 12%p 수준의 영업이익률 하락 요인이 발생했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핵심인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건하다”며 “수익성 부담 요인들이 올해 4분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수익 구조 개선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브가 월드투어 호조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올렸다. 다만 투자 확대와 일회성 비용 집행 등으로 인해 적자 전환했다.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72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늘어났다고 10일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세웠던 분기 최고 매출(7264억원)을 갈아치웠다. 올해 3분까지 누적 매출은 약 1조9300억원으로 2조원에 근접했다.
3분기 영업손실은 422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글로벌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 등이 영향을 미쳤다.
3분기 직접 참여형 매출은 477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66%를 차지했다. 공연 부문 매출은 방탄소년단 진의 글로벌 솔로 투어, 투모로우바이투게더·엔하이픈의 월드투어 등 대규모 공연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2450억원을 기록했다. 음반원 부문 매출은 아티스트의 컴백이 비교적 적었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1898억원을 기록했다.
기획상품(MD)·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매출 등 간접 참여형 매출은 24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타낸 MD·라이선싱 부문 매출은 1683억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 MD 매출 호조는 아티스트 투어 활동에 따른 투어 MD와 응원봉, IP 기반 캐릭터 상품의 판매가 견인했다.
글로벌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는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디지털 멤버십, 광고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 도입에 따른 성과다.
하이브는 3분기 422억원, 5.8%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글로벌 아티스트 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로 인해 총 12%p 수준의 영업이익률 하락 요인이 발생했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핵심인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건하다”며 “수익성 부담 요인들이 올해 4분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수익 구조 개선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