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5432464_001_20251111075416191.jpg?type=w800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가 인도에서 '1년 무료' 경쟁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시장 선점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BBC·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인도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 399루피(약 5달러 미만)에 제공하던 저가형 모델 ‘챗GPT Go’ 구독 서비스를 이달 4일부터 1년간 무료로 전환했다.

'챗GPT Go'는 무료 버전에 비해 메시지 전송량이 10배 이상 많고 이미지 생성 기능도 갖췄으며, 응답 속도 또한 더 빠른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는 이용자가 필요할 경우 상위 요금제로 변경해 사용 한도를 늘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 역시 인도 최대 통신사 릴라이언스 지오와 제휴하여 '제미나이 AI'를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도 인도 2위 이동통신사 '바르티 에어텔(Bharti Airtel)'과 협력하여 프리미엄 요금제를 1년간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기업이 인도 시장에서 연이어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장기적인 AI 시장 선점 전략으로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타룬 파탁 애널리스트는 BBC에 "인도는 9억 명 이상이 인터넷을 쓰고 있으며 대다수 사용자가 24세 미만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일상생활을 한다"며 "무료 사용자 중 5%만 가입해도 상당한 숫자"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올해 8월 '챗GPT Go' 출시 이후 인도 내 유료 구독자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챗GPT Go'는 약 90개국으로 서비스가 확대된 상태다.

인도는 세계에서 데이터 요금이 저렴한 국가 중 하나이며, 데이터 소비량은 세계 최상위 수준이다. 파탁 애널리스트는 "인도인들에게 유료 전환을 요구하기 전에 이들을 생성형 AI 생태계 안에 푹 빠지게 만드는 것이 (오픈AI 등의) 계획"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비슷한 인구 규모의 중국은 규제와 시장 장벽으로 인해 해외 기업의 접근이 어렵다. 이에 인도가 글로벌 빅테크가 직접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시장이자, 향후 AI 모델 고도화를 위한 핵심 학습 데이터를 공급하는 곳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델리에 기반을 둔 기술 전문가 프라산토 로이는 BBC를 통해 "대부분의 사용자는 무료 이용·편리함 앞에서 데이터를 쉽게 넘겨주곤 한다"며 "정부는 앞으로 기업 데이터 수집 행태를 어떻게 규율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