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8596036_001_20251111063018789.jpg?type=w800

"우편 적자 고착화…수익모델 없으면 집배원 보상강화 어려워"
"과기부장관도 약속한 노동조건 개선…우정직 홀대 멈춰야"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지난해 10월 대전우체국에서 대전동구청, 대전우체국, 동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함께 진행한 다문화가족 고향선물 보내기 행사. 2024.10.7/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정사업본부 새 수장을 뽑는 공고가 이달 13일 마감된다.

우편 사업의 고질적 적자 문제와 집배원 처우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표가 동시에 요구되는 자리다. 두 목표가 양립하기 힘든 측면이 있어, 어려운 자리가 될 거란 우려가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인사혁신처는 이달 13일 오후 6시까지 '2025년도 11월 개방형 직위 공개 모집'을 받는다.

16개 부처의 실·국장급 15개, 과장급 7개 직위를 합동 선발하는 것이다. 우정사업본부장의 경우 상위 기관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고를 냈다. 올해 9월 25일 자로 조해근 전 본부장의 임기가 끝났고, 현재는 곽병진 우정사업본부 경영기획실장이 본부장 직무대리를 수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공고 안내에 따르면 새 본부장이 해결할 과업은 크게 4가지다. 구체적으로 △우편사업 지속성장 기반 마련 △우체국 예금·보험 역할 강화 △직원 근로 여건 및 안전·보건 개선 △우정사업의 공적역할 강화 등이다.

특히 우편 사업의 적자 문제는 시급한 현안이라고 못을 박았다. 통상우편물(서신·요금통지서) 감소로 인해 기존 우편 수익모델(BM)은 한계에 다다랐다. 수익이 나고 있는 예금 부문의 강화가 요구되는 이유다.

문제는 일선 우정직 노동자를 중심으로 처우 개선이 거세게 요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전국우정노동조합은 행정직 대비 더딘 우정직의 승진 차별을 철폐하고, 노동조건도 개선하라고 요구하는 중이다.

특히 고질적인 승진 적체의 경우 전국 단위의 집회를 이어가는 등 반발이 거세다. 우본 자체 산출로 따져도 우정직 승진은 행정직 대비 약 4년은 느리다. 지난해 말 기준 행정직의 9급 입직 후 6급까지의 승진은 17년 4개월, 우정직은 21년 4개월이 소요된 것으로 기관은 파악하고 있다.

또 노조는 공무원 임용령 개정 등을 통해 우정직 등급별 대우도 격상해달라고 주문했다. 현재 우정 1·2급은 일반직 5급, 우정 3~6급은 일반직 6급 상당의 급여를 받는다. 이를 우정 1~4급은 일반직 4급으로, 우정 5급은 일반직 5급, 우정 6급은 일반직 6급으로 격상해 달라는 것이다.

기관 입장에선 인건비 지출을 늘릴 수밖에 없다. 뾰족한 수익모델이 확보되지 않는 한 수지 개선이라는 목표와는 충돌하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우본은 인건비를 자체 수익으로 충당하는 '특별회계'를 적용받는 기관이다. 우편 BM이 부진을 겪는 상황에서 인건비 재원을 추가로 확보하는 게 당장은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조는 서비스 지속성과 기관 공적 역할을 위해서라도 우정직을 홀대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기관이 추진하는 '지자체 지원금 배달', '취약계층 생활 점검' 등 공적 서비스도 결국 집배원 인프라를 활용한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물론 승진 정원이나 임금은 타 부처와 협의가 필요하단 것을 안다"면서도 "하지만 기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법 개정 등 타진해 볼 여지가 많다. 우정사업 특례 등 기관장 재량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산재 및 노동 악조건도 기관장이 풀어야 할 숙제다. 집배원 업무 능률을 초 단위로 따지는 '집배원 업무강도진단시스템' 등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선을 살펴보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차기 본부장에 나설 만한 인물로 4명 정도가 거론된다. 본부 내부에서 곽병진 경영기획실장 겸 본부장 직대, 상위 기관인 과기정통부에서 실장급 인사 3명 정도가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