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251107_0001987129_web_20251107145403_20251111060134701.jpg?type=w800

티빙, 亞 17개국 이어 日 진출…미국·남미도 예고
국내 OTT 시장 포화 직면…웨이브 합병 완료해도 성장 한계
오징어게임·케데헌 등 인기 속 K콘텐츠 전용관 승부수
현지 플랫폼 브랜드관 진출로 초기 비용 최소화


[서울=뉴시스]박은비 기자 = 웨이브와 합병을 앞둔 티빙이 해외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최근 일본에 이어 내년 초 홍콩과 대만, 동남아 등 아시아 17개국에 진출한다. 내친 김에 미국, 남미 시장으로 진출 지역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11일 티빙은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와 손잡고 홍콩, 대만 등 아시아태평양 17개국에 방영되는 OTT 서비스 'HBO 맥스' 안에 티빙 브랜드관을 내년 초 개설하기로 했다. HBO 맥스는 전세계 1억2000만명 안팎의 가입자를 확보한 글로벌 시장 점유율 4위 사업자다.

앞서 티빙은 디즈니플러스와도 제휴를 맺고 일본 디즈니플러스 서비스에 티빙 컬렉션을 출시했다. 모두 현지 진출 OTT 서비스 안에 숍앤숍 형태로 티빙 콘텐츠를 공급하는 형태다. 글로벌 시장 직접 진출에 따른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면서 가급적 다양한 거점 시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넷플릭스 1위 고착화된 국내 OTT 시장…K콘텐츠 글로벌 인기 속 '글로벌 진출' 실험

"국내 시장만으로는 안 된다."

웨이브와의 합병을 앞두고 있는 티빙의 가장 큰 경영 과제는 '글로벌 진출'이다. 웨이브와의 합병을 완료하면 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와 견줄만한 사업자가 된다.

관건은 국내 OTT 시장이 이미 포화 상태에 진입했다는 점이다. 지난 6일 CJ ENM 실적 발표에서 3분기 실적을 공개한 티빙은 4분기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직 적자 상태다. 올해 3분기 매출 9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했고, 영업손실 규모도 162억원으로 전년(71억원)보다 확대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4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이후 국내 OTT 이용자 증가율은 연 5% 수준에 그쳤다. 향후 3~4년간 저성장 국면이 예상된다. 사업자별로 보면 1위인 넷플릭스 독주 체제 속 티빙은 매달 월간활성이용자수(MAU) 2, 3위 자리를 쿠팡플레이와 경쟁하고 있다.

웨이브와의 합병을 완료한다 해도 국내 시장에서는 큰 폭의 실적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얘기다.

돌파구는 글로벌 시장이다. 오징어게임 시리즈를 비롯해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넷플릭스 콘텐츠를 통해 K콘텐츠·한국 소재 콘텐츠의 세계적인 경쟁력이 입증됐다. 물론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서다. K콘텐츠에 대한 세계적인 인기를 감안한다면, 이제는 K-콘텐츠 전용 서비스 역시 해외 시장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티빙이 주목하고 있는 일본 시장도 마찬가지다. 일본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드라마 상위권 작품 40% 이상이 CJ ENM 대표작들이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일본 시청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 1위는 겨울연가, 2위 사랑의 불시착, 3위 이태원 클라쓰, 4위 도깨비, 5위 대장금 등이다. 최근에도 '폭군의 셰프', '내 남편과 결혼해줘: 일본판' 등이 일본 OTT 차트 상위권에 올랐고, '환승연애' 시리즈, '피라미드 게임', '유미의 세포들' 등 오리지널 콘텐츠가 일본에서 자체 팬덤을 형성해왔다.



현지 플랫폼 내 '브랜드관' 진출로 초기 비용 최소화 전략

티빙의 진출 방식도 눈에 띈다. 티빙은 해외에 직접 진출하는 대신 글로벌 사업자의 OTT 플랫폼 내 브랜드관에 진출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초기 시장 진출 비용과 마케팅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미 현지에 진출한 플랫폼이 보유한 인프라를 활용해 글로벌 이용자에게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실 티빙이 해외 진출을 타진하기 시작한 건 4년 전부터다. 네이버 자회사인 라인(LINE) 등과 협력해 이듬해인 2022년 일본과 대만을 시작으로 2023년에 미국에 진출하겠다는 글로벌 진출 계획을 지난 2021년 10월 발표했지만 실행 단계에서 구체화되지 못했다.

업계에선 '샵인샵' 모델로는 수익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와 관련 최주희 티빙 대표는 지난 8월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에서 "전략적으로 샵인샵 모델로 가서 충분한 마케팅이나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들한테 알리는 방안을 추구하고, 어떤 시장에서는 바로 진출할 수도 있다"며 "그런 방향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