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251111115745Hd6_01_i_20251111115816086.jpeg?type=w800

임원 승진 [연합뉴스 제공]
국내 100대 대기업의 일반 직원수는 늘어난 반면 임원수는 줄어들면서 임원 승진 확률이 더욱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1일) 한국CXO연구소의 '2025년 100대 기업 직원의 임원 승진 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반기보고서 기준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수는 86만1,07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동기(84만 9,406명)보다 1.4% 늘어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미등기임원은 7,135명에서 7,28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직원은 늘고 임원 자리는 줄다 보니 올해 100대 기업의 임원 1명당 직원수는 122.5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00대 기업 직원 중 임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0.82%로 집계됐습니다. 2011년 0.95%에서 2021년 0.76%까지 감소했다가 지난해에는 0.84%로 소폭 올랐습니다. 그러나 올해는 0.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재계 주요 4대 기업의 임원 1명당 직원수 변동을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110.3명에서 올해 117명, 같은 기간 현대자동차 143명에서 151.6명, LG전자 116.1명에서 116.2명, SK하이닉스 163.9명에서 165.6명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4개 기업 모두 올해 임원으로 진입하는 문턱이 지난해 대비 소폭 높아진 셈입니다.

임원 승진 확률은 업종별로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증권업은 올해 직원 38.9명당 1명이 임원 자리에 올라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고 이어 ▲ 무역(53.7명) ▲ 보험(75.8명) ▲ 석유화학(76.1명) ▲ 식품(97.3명) ▲ 건설(98.1명) 업종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유통 분야는 직원 330.5명당 약 1명만 임원 명패를 단 것으로 조사돼 임원에 오를 가능성이 가장 낮았습니다.

이밖에도 ▲ 에너지(188.2명) ▲ 조선중공업(166.2명) ▲ 자동차(147.1명) ▲ 운송(140.3명) ▲ 전자(136.6명) ▲ 금속철강(114.7명) ▲ 정보통신(102.5명) 등 업종은 산술적인 임원 승진 경쟁률이 100대 1 수준을 넘었습니다.

#임원 #기업 #승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