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M20241212000264990_P4_20251111115518440.jpg?type=w800

학교는 대형·비대면 수업 늘리고 교수는 관리 부실, AI는 촉매 역할
학생 윤리 문제? '행정 편의주의' 지적…"대학 평가에 패털티 부과해야"


생성형 AI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 = 대학가에서 AI(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집단 부정행위 논란이 잇따라 불거진 것은 2020년대 들어 퍼진 대형·온라인 강의와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만나 벌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학생들의 윤리 의식을 일방적으로 탓하기보단 표절과 커닝이 용이하도록 만든 학교 당국이 먼저 자성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게 우선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 한 사립대의 A 교수는 11일 이번 사태에 대해 "대학의 재정 상황 때문에 대규모 강의가 늘어나고, 교수자가 학생을 챙기기 어려워지며 발생한 문제"라고 진단했다.

대학 입장에선 코로나19 때 늘어난 비대면 강의가 재정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판단 등에 수를 줄이지 않고, 교수들도 더 많은 관리 노력을 하지 않으며 사각지대를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에 공개된 학생 규모별 강좌 수 자료에 따르면 연세대의 경우 2020년 75개였던 대형 강의(학생 201명 이상)는 지난해 104개로 1.4배 늘어났다. 원격(비대면) 강좌의 경우 2023년 2학기 기준 34개였으나 올해 2학기엔 321개로 크게 증가했다.

대형 강의를 열어 비대면 시험을 치르면서 학생 개인의 윤리 의식에만 기대는 건 대학의 '행정 편의주의'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박남기 전 광주교대 총장은 "지금 대학과 교수들은 AI 시대에 적응을 못 하고 있다"며 "AI 사용을 막을 수는 없는 상황에서, AI를 활용하더라도 학생들이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전 총장은 "대학 교육의 질을 높여야 AI 시대 교육 윤리나 (이에 입각한) 가이드라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며 "대학이 교수를 충원하는 등 인력을 투입해야 학생들이 윤리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 역시 "교육부에서도 대형 강의를 하지 말도록 한다"며 "대형 강의 수가 늘어날 경우 대학 평가 시 페널티를 부여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ys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