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립 30주년 기자간담회
SAP 기자간담회
[촬영 오지은]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SAP는 데이터를 AI로 가져오는 게 아니라 데이터에 AI를 가져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사이먼 데이비스 SAP 아태지역 총괄회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IFC 더 포럼에서 설립 3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SAP의 비즈니스 스위트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이러한 프로세스로 데이터 유출 위험을 줄이고 고객 입장에서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다"라며 "SAP 데이터와 비(非) SAP 데이터를 결합해서 쓸 수 있는 만큼 통합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더 많은 앱을 개발해서 쓸 수 있다"라고 말했다.
SAP의 비즈니스 스위트는 기업 비즈니스용 모듈 설루션으로 AI 코파일럿 쥴(Jould)은 이러한 환경에서 내·외부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단일한 창구 역할을 한다.
이용자가 쥴에 질문하면 SAP 데이터와 비(非) SAP 데이터를 연결하고,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BDC)가 이러한 작업을 소화할 수 있다.
쥴은 일반적으로 비정형데이터에 특화됐는데 정형데이터 이해도가 높은 지식그래프가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 쥴이 비정형데이터와 정형데이터를 모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한국 시장이 아태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시장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그는 "30년간 구축한 강력한 고객 기반 기술로 SAP코리아가 AI 시대에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은영 SAP코리아 대표는 "향후 국내 기업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AI와 클라우드 설루션의 빠른 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며 "지난 4월 한국어 지원을 시작한 쥴과 7월 국내 시장에 출시한 비즈니스 BDC 등으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날 SAP코리아는 파트너, 고객, AI 정책을 세 축으로 하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일부 아태지역 국가는 메인 포맷에서 AI를 운영해 관련 기술이 발전하기 어려운 환경이다"라면서도 "한국은 이재명 정부가 AI 3대 강국 비전을 제시하는 등 정부 정책으로 AI 발전을 꾀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 기업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지만 데이터 사일로(칸막이) 현상, 투자수익률(ROI) 우려 등 과제에 직면했다"라고 진단했다.
SAP코리아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트너 생태계와 협력하며 레거시 시스템 현대화부터 AI 도입까지 국내 기업의 실질적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방침이다.
built@yna.co.kr
[촬영 오지은]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SAP는 데이터를 AI로 가져오는 게 아니라 데이터에 AI를 가져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사이먼 데이비스 SAP 아태지역 총괄회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IFC 더 포럼에서 설립 3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SAP의 비즈니스 스위트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이러한 프로세스로 데이터 유출 위험을 줄이고 고객 입장에서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다"라며 "SAP 데이터와 비(非) SAP 데이터를 결합해서 쓸 수 있는 만큼 통합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더 많은 앱을 개발해서 쓸 수 있다"라고 말했다.
SAP의 비즈니스 스위트는 기업 비즈니스용 모듈 설루션으로 AI 코파일럿 쥴(Jould)은 이러한 환경에서 내·외부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단일한 창구 역할을 한다.
이용자가 쥴에 질문하면 SAP 데이터와 비(非) SAP 데이터를 연결하고,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BDC)가 이러한 작업을 소화할 수 있다.
쥴은 일반적으로 비정형데이터에 특화됐는데 정형데이터 이해도가 높은 지식그래프가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 쥴이 비정형데이터와 정형데이터를 모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한국 시장이 아태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시장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그는 "30년간 구축한 강력한 고객 기반 기술로 SAP코리아가 AI 시대에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은영 SAP코리아 대표는 "향후 국내 기업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AI와 클라우드 설루션의 빠른 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며 "지난 4월 한국어 지원을 시작한 쥴과 7월 국내 시장에 출시한 비즈니스 BDC 등으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날 SAP코리아는 파트너, 고객, AI 정책을 세 축으로 하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데이비스 총괄회장은 "일부 아태지역 국가는 메인 포맷에서 AI를 운영해 관련 기술이 발전하기 어려운 환경이다"라면서도 "한국은 이재명 정부가 AI 3대 강국 비전을 제시하는 등 정부 정책으로 AI 발전을 꾀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 기업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지만 데이터 사일로(칸막이) 현상, 투자수익률(ROI) 우려 등 과제에 직면했다"라고 진단했다.
SAP코리아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트너 생태계와 협력하며 레거시 시스템 현대화부터 AI 도입까지 국내 기업의 실질적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방침이다.
built@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