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251112082700009_01_i_P4_20251112121213140.jpg?type=w800

WSJ, 메타·오픈AI·xAI 자금조달 조명

기사와 상관없는 자료사진입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수익성이 좋고 혁신적이면서도 일부는 위험을 수반하는 방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인공지능(AI) 기업들에 월가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금을 대고 있다면서 3개의 거래를 사례로 들어 11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블루아울이 메타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초대형 데이터센터 '하이페리온'을 건설 중이다.

사모펀드, 프로젝트 파이낸싱, 투자등급채권 요소가 뒤섞인 일종의 '프랑켄슈타인식 금융 구조'라고 WSJ은 짚었다.

메타가 이미 막대한 차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주체가 대신 빌리는' 방안이라고 분석했다.

블루아울과 메타가 80% 대 20% 지분 비율로 설립한 이 합작법인이 2049년 만기 채권을 270억달러어치를 발행했다. 이 중 180억달러는 핌코가 매입했다. 이 부채는 메타가 아닌 합작법인의 재무제표에 계상된다.

메타는 데이터센터를 임대하고 이 임대료는 합작법인이 채권 원리금 상환과 블루아울에 대한 배당금으로 쓰게 된다.

메타가 4년마다 임대계약을 끝낼 수 있는 옵션을 가지는데 임대계약이 메타의 재무제표에 장기 부채로 반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만일 메타가 중도에 임대계약을 끝낼 경우 합작법인이 데이터센터를 매각해 매각 금액이 채권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과 블루아울의 투자금 및 약속한 이익에 미치지 못하면 메타가 그 차액을 보전해 주는 "이례적으로 강력한 보호 장치"가 들어갔다고 WSJ은 설명했다.

두 번째 사례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데이터센터 개발·임대업체 밴티지 데이터센터스가 텍사스주와 위스콘신주에 총사업비 380억달러 규모로 데이터센터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오라클은 이 데이터센터에 대해 15년 임대계약을 맺었다. 최종 사용자는 오픈AI다. 오라클은 오픈AI에 5년간 3천억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계약을 맺었다,

WSJ은 스타트업인 오픈AI는 차입할 수 없고, 오라클은 빅테크 중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편이어서 은행들이 대신 자금을 제공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센터 자산을 담보로 하는 일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로서, 대출금 상환 재원은 오라클이 내는 임대료다.

WSJ은 "이런 구조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인 방식이지만 '자카드'로 불리는 이 거래의 규모는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10여개 안팎의 은행들만 참여하지만, 이 거래에는 30개 넘는 금융기관이 참여했다는 것이다. 참여한 금융기관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대출채권을 투자자들에게 재판매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세 번째 사례로는 일론 머스크의 xAI가 테네시주에 건설 중인 두 번째 초대형 데이터센터 콜로서스 2.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칩 30만개 구매 비용은 180억달러. 연초 머스크의 측근 안토니오 그라시아스가 자신의 투자회사 발로르 에퀴티 파트너스(이하 발로로)를 통해 칩 구매 자금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발로르는 '발로르 컴퓨터 인프라스트럭처스'(VCI) 지분 매입을 약속했다. VCI는 사모대출 펀드로부터 수십억달러의 추가 부채 조달에 나선다. 이 자금은 모두 엔비디아 칩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다.

발로르는 더 많은 부채 조달을 위해 다른 투자회사들에 VIC 지분 매입을 유치하고 있다. 거래 규모가 최대 75억달러의 주식과 12억5천만달러의 부채가 될 수 있다.

WSJ은 "부채는 xAI가 내는 임대료로 5년 내 상환되는 반면 지분 투자 수익은 향후 칩 가치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은 은행과 자산운용사들이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고 있지만, AI 열풍이 진정된 이후 이처럼 복잡한 거래 구조가 어떻게 작동할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또한 기술 기업들이 새로운 부채를 많이 떠안을 때마다 차입 비용이 계속 상승한다는 점도 우려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ju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