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3 2025 행사서 미래 청사진
지능형 인프라 시대 위한 전략 가동
네이버 클라우드·엠로 등 혁신안 강조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가 1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콘퍼런스(IC3) 2025’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노그리드 제공
토종 클라우드 컴퓨팅기업 이노그리드가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협업 생태계 구축’을 택했다.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인공지능전환(AX) 시대에 맞는 여러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는 1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한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콘퍼런스(IC3) 2025’에서 이 같은 청사진을 밝혔다.
김 대표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은 한 회사의 역량 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며 “하이퍼스케일러 및 반도체, 네트워크,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과 스타트업과 함께 개방형 협력 체계를 구축해 각 사의 장점을 연결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인 방향성으로 “클라우드 구축 솔루션을 넘어 ‘AI 드리븐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자’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겠다”며 “서비스 품질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 인프라’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이날 행사는 ‘모두의 AI·클라우드 유니버스’를 주제로, AI 클라우드와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을 이끄는 기업들의 혁신 방안도 제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네이버클라우드 유경범 상무는 “소버린 AI는 우리만의 자주권을 갖고 다른 국가들이나 기업들과 협력을 하겠다는 것이 본질”이라며 “멀티모달보다 진화된 ‘옴니모델’을 구축해 다양한 AI 서비스와 데이터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AI 공급망관리 소프트웨어(SW)기업 엠로 전진 AI사업팀장(전무)은 구매 업무 담당자에게 최적화된 ‘AI 에이전트’ 전략을 소개했다.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전진 전무는 “특정 도메인에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의도를 좀 더 잘 이해해 스스로 계획을 수립 및 실행하며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을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기존 ‘똑똑한 조수’에서 ‘전문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지능형 인프라 시대 위한 전략 가동
네이버 클라우드·엠로 등 혁신안 강조
토종 클라우드 컴퓨팅기업 이노그리드가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협업 생태계 구축’을 택했다.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인공지능전환(AX) 시대에 맞는 여러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는 1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한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콘퍼런스(IC3) 2025’에서 이 같은 청사진을 밝혔다.
김 대표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은 한 회사의 역량 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며 “하이퍼스케일러 및 반도체, 네트워크,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과 스타트업과 함께 개방형 협력 체계를 구축해 각 사의 장점을 연결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인 방향성으로 “클라우드 구축 솔루션을 넘어 ‘AI 드리븐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자’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겠다”며 “서비스 품질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 인프라’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이날 행사는 ‘모두의 AI·클라우드 유니버스’를 주제로, AI 클라우드와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을 이끄는 기업들의 혁신 방안도 제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네이버클라우드 유경범 상무는 “소버린 AI는 우리만의 자주권을 갖고 다른 국가들이나 기업들과 협력을 하겠다는 것이 본질”이라며 “멀티모달보다 진화된 ‘옴니모델’을 구축해 다양한 AI 서비스와 데이터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AI 공급망관리 소프트웨어(SW)기업 엠로 전진 AI사업팀장(전무)은 구매 업무 담당자에게 최적화된 ‘AI 에이전트’ 전략을 소개했다.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전진 전무는 “특정 도메인에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의도를 좀 더 잘 이해해 스스로 계획을 수립 및 실행하며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을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기존 ‘똑똑한 조수’에서 ‘전문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