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경쟁 구조·젊은층 지지로 흥행 성공
1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 시상식'에서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한 '마비노기 모바일'의 제작사 데브캣 김동건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올해를 빛낸 최고의 국산 게임으로 ‘마비노기 모바일’이 선정됐다.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내 게임 산업 대표 시상식 ‘2025 대한민국 게임 대상’에서 넥슨 자회사 데브캣이 개발한 ‘마비노기 모바일’이 최고상인 대상(대통령상)을 받았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기획·시나리오 부문과 사운드 부문에서도 수상하며 3관왕에 올랐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장기간의 개발 끝에 지난 3월 출시됐다. 출시 약 7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364만건, 누적 매출 3000억원을 기록했다. 기존 모바일 MMORPG(다중 접속 역할 수행 게임)가 경쟁과 과금 중심 구조였던 것과 달리, 낚시·요리·음악 연주 등의 생활형 콘텐츠와 유저 간 교류 중심 설계로 주목받았다. 특히 이용자 연령대가 10~20대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나며 세대 확장 효과가 두드러졌다. 김동건 데브캣 대표는 “더 완성도 높은 게임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은 네오플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이 차지했다. ‘던전앤파이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액션 게임으로, 그래픽 기술과 전투 연출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세븐나이츠 리버스’(넷마블넥서스)가 인기게임상을, ‘셰이프 오브 드림즈’(리자드스무디)가 인디게임상을 받았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축사에서 “게임은 이제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인공지능(AI)과 예술이 결합한 융합문화이자 21세기형 창작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정부도 낡은 제도를 개선하고 인력양성과 글로벌 진출 지원을 강화해, K-게임이 세계 무대에서 더욱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올해를 빛낸 최고의 국산 게임으로 ‘마비노기 모바일’이 선정됐다.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내 게임 산업 대표 시상식 ‘2025 대한민국 게임 대상’에서 넥슨 자회사 데브캣이 개발한 ‘마비노기 모바일’이 최고상인 대상(대통령상)을 받았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기획·시나리오 부문과 사운드 부문에서도 수상하며 3관왕에 올랐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장기간의 개발 끝에 지난 3월 출시됐다. 출시 약 7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364만건, 누적 매출 3000억원을 기록했다. 기존 모바일 MMORPG(다중 접속 역할 수행 게임)가 경쟁과 과금 중심 구조였던 것과 달리, 낚시·요리·음악 연주 등의 생활형 콘텐츠와 유저 간 교류 중심 설계로 주목받았다. 특히 이용자 연령대가 10~20대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나며 세대 확장 효과가 두드러졌다. 김동건 데브캣 대표는 “더 완성도 높은 게임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은 네오플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이 차지했다. ‘던전앤파이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액션 게임으로, 그래픽 기술과 전투 연출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세븐나이츠 리버스’(넷마블넥서스)가 인기게임상을, ‘셰이프 오브 드림즈’(리자드스무디)가 인디게임상을 받았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축사에서 “게임은 이제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인공지능(AI)과 예술이 결합한 융합문화이자 21세기형 창작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정부도 낡은 제도를 개선하고 인력양성과 글로벌 진출 지원을 강화해, K-게임이 세계 무대에서 더욱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