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251112148400017_01_i_P4_20251112181314548.jpg?type=w800

딥스 디 실바 오픈AI 교육 담당 디렉터
[오픈A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오픈AI가 연세대를 찾아 스터디모드를 소개하고 학습 시 인공지능(AI) 활용법에 대한 조언을 전했다.

오픈AI는 12일 연세대 제4공학관에서 연세대 인공지능학회와 함께 세미나를 열었다.

회사는 이날 오픈AI 에듀케이션의 전략을 소개하고 챗GPT 5.1 베타 버전을 시연했다.

딥스 디 실바 오픈AI 교육 담당 디렉터는 "오픈AI의 목표 중 하나는 AI로 세상이 배우는 방식을 혁신하는 것"이라며 "오늘 세션은 대학에서 학습을 위한 책임 있는 AI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실바 디렉터는 "AI 도구를 활용하는 컨설턴트는 평균적으로 과제를 12.2% 더 많이 수행했다"며 "생성형 AI 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결과물 품질이 40% 뛰어나다는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실바 디렉터는 학생들이 AI 도구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AI를 보조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어떤 학생은 AI를 사용해 에세이를 써달라, 시험 답안을 써달라고 할 수도 있지만 학생으로서 정말 해야 할 일은 AI를 증강 도구로 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타일러 류 오픈AI 솔루션스 아키텍트가 챗GPT 스터디 모드를 소개했다.

지난 7월 출시된 챗GPT 스터디모드는 바로 해답을 제공하는 대신 단계별 가이드로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툴이다.

류 아키텍트는 "스터디모드는 바로 답변을 주는 게 아니라 (사용자 답변을) 유도한다"며 스터디 모드의 이러한 특징을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 상대가 스스로 깨닫게 유도하는 '소크라테스 문답법'에 비유했다.

그는 "챗GPT에 질문하면 답변을 다 주는 게 일시적으로는 편하겠지만 과제를 할 땐 사용해선 안 된다"며 "챗GPT로 과제를 하면 등록금이 아깝다"고 지적했다.

최근 연세대와 고려대, 서울대에서 AI를 활용한 집단적인 시험 부정행위 정황이 포착되면서 AI 윤리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연세대 인공지능학회가 이날 세션에 참여한 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챗GPT 사용 목적을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 보조, 번역 순으로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한편, 오픈AI는 13일 개발자 콘퍼런스인 데브데이(DevDay)를 한국에서 처음 개최하는 등 국내에서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데브데이는 오픈AI가 한국 내 AI 개발자와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보니 차터지 오픈AI 글로벌 솔루션 아키텍처 총괄 등이 참석한다. 국내 기업 관계자와 개발자 100여명도 초대됐다.

buil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