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리2호기 재가동, 왜
갈수록 수요 급증, 신규원전 건설 한계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13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24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사진제공=원자력안전위원회
이재명정부 출범 후 가동중단 원자력발전소의 계속운전(재가동) 결정이 처음 나왔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고리2호기 원자력발전소(이하 고리2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AI(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에서 AI데이터센터 등 컴퓨팅 인프라의 확충이 매우 중요한 가운데 그간 걸림돌로 여긴 전력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정부가 원전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국내 AI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올해 4461㎿(메가와트)에서 2028년 6175㎿, 2035년 1만2700㎿로 급증이 예상된다. 하지만 신규원전을 통한 전력공급은 불가능하다. 원전건설에 7~10년이 소요되는데 현재 신규건설 중인 원전은 신한울3, 4호기와 신고리5, 6호기 4기에 불과해서다. 결국 기존 원전의 계속운전을 통해 상당수 전력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에 따르면 국내 원전 26기 중 고리2호기를 포함해 계속운전 결정이 신청된 원전은 고리3, 4호기와 한빛1, 2호기, 한울1, 2호기 등이 있다. 앞으로 계속운전 신청대상 원전은 2030년까지 10기, 2045년까지 18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법, 원안위 고시 등에 따르면 설계 수명기간(운영허가 기간)이 종료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되면 10년을 한도로 원전을 추가 가동할 수 있다. 고리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가 떨어지기까지는 난관이 많았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2호기의 계속운전을 신청한 시점은 당초 운영허가 기간(1983~2023년)이 만료되기 1년 전인 2022년 4월이었다. 당초 올 6월 재가동을 목표로 했지만 올 9월, 10월 회의에서 자료보완 및 재검토 등을 이유로 결정이 미뤄졌다.
지난 9월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가동연한이 지난 원전도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수명을 연장해 쓸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고리2호기 재가동 승인이 늦어지면서 "원전에 비우호적인 정부 스탠스 때문"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원전을 배제할 경우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AI데이터센터 등을 운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의 지방이전 강제화도 전력수급 때문이었다"며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원전이 적극 활용되면 국내 AI데이터센터 확충은 수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갈수록 수요 급증, 신규원전 건설 한계
이재명정부 출범 후 가동중단 원자력발전소의 계속운전(재가동) 결정이 처음 나왔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고리2호기 원자력발전소(이하 고리2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AI(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에서 AI데이터센터 등 컴퓨팅 인프라의 확충이 매우 중요한 가운데 그간 걸림돌로 여긴 전력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정부가 원전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국내 AI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올해 4461㎿(메가와트)에서 2028년 6175㎿, 2035년 1만2700㎿로 급증이 예상된다. 하지만 신규원전을 통한 전력공급은 불가능하다. 원전건설에 7~10년이 소요되는데 현재 신규건설 중인 원전은 신한울3, 4호기와 신고리5, 6호기 4기에 불과해서다. 결국 기존 원전의 계속운전을 통해 상당수 전력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에 따르면 국내 원전 26기 중 고리2호기를 포함해 계속운전 결정이 신청된 원전은 고리3, 4호기와 한빛1, 2호기, 한울1, 2호기 등이 있다. 앞으로 계속운전 신청대상 원전은 2030년까지 10기, 2045년까지 18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법, 원안위 고시 등에 따르면 설계 수명기간(운영허가 기간)이 종료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되면 10년을 한도로 원전을 추가 가동할 수 있다. 고리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가 떨어지기까지는 난관이 많았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2호기의 계속운전을 신청한 시점은 당초 운영허가 기간(1983~2023년)이 만료되기 1년 전인 2022년 4월이었다. 당초 올 6월 재가동을 목표로 했지만 올 9월, 10월 회의에서 자료보완 및 재검토 등을 이유로 결정이 미뤄졌다.
지난 9월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가동연한이 지난 원전도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수명을 연장해 쓸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고리2호기 재가동 승인이 늦어지면서 "원전에 비우호적인 정부 스탠스 때문"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원전을 배제할 경우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AI데이터센터 등을 운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의 지방이전 강제화도 전력수급 때문이었다"며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원전이 적극 활용되면 국내 AI데이터센터 확충은 수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