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370482_001_20251115120119873.jpg?type=w800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와 전자신문이 주최하는 제26회 공공솔루션 마켓이 'AI시대를 여는 공공서비스 혁신전략'을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지용구 더존비즈온 부사장이 '보안과 생산성을 동시에, 프라이빗 AI 기반 업무 자동화 전략'을 주제로 기조 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공공기관이 인공지능(AI) 도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 유출 우려 등 '보안' 때문이지만, 이를 해결해서 생산성을 높여야 합니다.”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26회 공공솔루션마켓'에서 지용구 더존비즈온 부사장은 '보안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이는 프라이빗 AI 기반 업무 자동화 전략' 세션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지 부사장은 인터넷과 분리된 폐쇄망 환경에서 운영되는 구축형(온프레미스) AI 솔루션 '원 AI 프라이빗 에디션(ONE AI PE)'을 집중 조명했다.

지 부사장은 “개인이 내부 문서를 업로드해 답변을 받는 과정에서 민감한 데이터가 유출될 우려가 크고, 기존 업무 솔루션과 AI 서비스가 이원화돼 실제 업무 적용에 어려움이 많았다”고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어 그는 “'ONE AI PE'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구축형 모델”이라며 “외부 유출 없이 내부 데이터만 분석해 안정성을 보장하고, 전사자원관리(ERP), 그룹웨어, 문서관리 등 기업 내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안과 업무 효율에 최적화된 통합 AI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기술로는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을 꼽았다. 지 부사장은 “기존 AI가 정해진 일만 수행하는 '심부름꾼'에 가까웠다면, ONE AI PE는 사용자의 복잡한 요청을 분석해 웹 검색, 자료분석, ERP 에이전트 등 다양한 AI 도구를 '팀'처럼 협업시키는 '지휘자형 AI'”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는 더존비즈온이 공공과 기업 환경에 특화해 선보인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Llama-DOUZONE 70B' 등과 다중 모듈을 연결하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기술이 기반이 됐다”고 덧붙였다.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와 전자신문이 주최하는 제26회 공공솔루션 마켓이 'AI시대를 여는 공공서비스 혁신전략'을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지용구 더존비즈온 부사장이 '보안과 생산성을 동시에, 프라이빗 AI 기반 업무 자동화 전략'을 주제로 기조 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지 부사장은 ONE AI PE를 통한 실제 공공 행정업무 혁신 사례도 제시했다. 그는 “AI가 접수된 공문서를 자동 분류·배부하고, 학습된 계약법을 기반으로 최적의 계약 방법과 관련 서류를 자동 생성하며, AI 기반으로 일상감사 대상 여부를 자동 판별하는 등 복잡한 행정 업무를 즉시 자동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실제 내부 도입 결과, 업무 시간이 89.7% 감소하는 등 높은 생산성 향상 효과를 입증했다”며 “보안 제약 환경에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고 ERP 등과 결합해 차별화된 AX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