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에 공공 인공지능 전환(AX) 사업이 대거 나올 전망이지만, 정작 공공 AX의 기반이 돼야 할 공공 정보시스템 영역에선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을 위한 이정표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김한재 엔키아 AI연구소 과장이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6회 공공솔루션마켓' 기조강연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공공 정보시스템 운영 현대화 비전을 제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과장은 공공 정보시스템 운영 현대화의 핵심 기술로 에이전틱 AI를 꼽았다.
그는 “정보기술(IT) 운영 전반을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에이전틱 AI가 공공 IT 운영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에이전틱 AI가 공공 정보시스템 전반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이상 징후 탐지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애 근본 원인(RCA)을 즉시 찾아낸다. 분석된 원인과 과거 처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해결 방안과 조치 스크립트를 포함한 티켓을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할당하며, 반복 발생하는 유형의 장애는 에이전틱 AI가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김 과장은 “에이전틱 AI가 수동적이고 사후 대응적이던 IT 운영을 예측 가능하고 자동화된 '자율 운영' 체계로 전환해, 공공정보시스템의 안정성을 뒷받침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공적인 에이전틱 AI 도입을 위한 공공정보시스템 운영 AX 성숙도 단계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AI가 도입되지 않아 인간이 직접 운영하는 '0단계' △AI 에이전트가 도입돼 단위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1단계' △에이전틱 AI가 도입됐지만, 의사결정은 인간이 내리는 '2단계' △AI가 전체 시스템을 자율 운영하고, 인간은 AI를 지도·감시·감독하는 '3단계'로 총 4단계로 구성된다.
김 과장은 “에이전틱 AI 도입을 통한 공공 정보시스템 현대화의 핵심은 3단계로 성급하게 진입해서는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각 단계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며 지식·경험·신뢰 등 내부 역량을 확보하고, 시스템 통합·암묵지 제거·AI 기술 발전 등 기술적·조직적 확장을 통해 시스템 자율 운영이라는 이상적인 목표에 다가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