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 속 당뇨병 관리로 자가관리 능력 높여야정부가 생활 속에서 당뇨병 예방·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뇨병이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지난해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당뇨병은 국내 사망원인 7위를 기록했다. 당뇨병은 심근경색증·만성콩팥병·망막병증·신경병증·뇌졸중 등 합병증을 동반한다. 환자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과 사회의 부담도 증가시킨다.
질병관리청의 2024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2023년과 비교해 남자는 1.3%p 증가한 13.3%를, 여자는 0.9%p 상승한 7.8%로 나타났다. 남자는 60대(35.5%), 여자는 70대 이상(28.5%)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사진=픽사베이)
2022년~2024년 당뇨병 인지율·치료율·조절률은 2019년~2021년 대비 남녀 모두 개선됐다. 하지만 20~30대의 인지율·치료율·조절률 모두 다른 연령층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때문에 질병청은 20세~49세를 대상으로는 예방 위주의 정책을, 60대 이상을 대상으로는 유병자에 초점을 맞춰 관리 정책을 수행해왔다.
질병청은 생활 속 당뇨병 예방·관리 및 자가관리 제고를 위해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과 수칙별 실천지침을 마련하고, 포스터·리플릿·카드뉴스·쇼츠영상 등을 배포하기로 했다.
또 당뇨병 예방관리수칙인 ‘당당수칙-당뇨병’을 질병청 홈페이지, 국가건강정보포털, 지자체,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센터, 대한당뇨병학회 홈페이지 등에도 게시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당뇨병은 건강한 식단, 규칙적 신체활동, 체중 관리, 금연 및 알코올 제한 등 생활습관 개선이 핵심 전략”이라며 “평상시에도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을 생활화하는 등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달라”라고 당부했다.
당뇨병이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지난해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당뇨병은 국내 사망원인 7위를 기록했다. 당뇨병은 심근경색증·만성콩팥병·망막병증·신경병증·뇌졸중 등 합병증을 동반한다. 환자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과 사회의 부담도 증가시킨다.
질병관리청의 2024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2023년과 비교해 남자는 1.3%p 증가한 13.3%를, 여자는 0.9%p 상승한 7.8%로 나타났다. 남자는 60대(35.5%), 여자는 70대 이상(28.5%)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2022년~2024년 당뇨병 인지율·치료율·조절률은 2019년~2021년 대비 남녀 모두 개선됐다. 하지만 20~30대의 인지율·치료율·조절률 모두 다른 연령층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때문에 질병청은 20세~49세를 대상으로는 예방 위주의 정책을, 60대 이상을 대상으로는 유병자에 초점을 맞춰 관리 정책을 수행해왔다.
질병청은 생활 속 당뇨병 예방·관리 및 자가관리 제고를 위해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과 수칙별 실천지침을 마련하고, 포스터·리플릿·카드뉴스·쇼츠영상 등을 배포하기로 했다.
또 당뇨병 예방관리수칙인 ‘당당수칙-당뇨병’을 질병청 홈페이지, 국가건강정보포털, 지자체,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센터, 대한당뇨병학회 홈페이지 등에도 게시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당뇨병은 건강한 식단, 규칙적 신체활동, 체중 관리, 금연 및 알코올 제한 등 생활습관 개선이 핵심 전략”이라며 “평상시에도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을 생활화하는 등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달라”라고 당부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