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93797_001_20251116181221775.jpg?type=w800

삼성전자 포함해 삼성 계열사 대규모 투자 약속
평택사업장 골조 공사·협력회사 상생안 등 추진

삼성전자를 포함한 삼성 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최근 발표한 향후 5년간 국내에서 6만명 고용 계획 역시 어려운 상황에서도 관철하겠다고 약속했다.

삼성은 16일 이같은 내용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회사는 글로벌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평택사업장 2단지에 새롭게 조성되는 5라인은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향후 5라인이 본격 가동될 경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국내 반도체 생태계에서 평택사업장의 전략적 위상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계열사 별로 보면 먼저 삼성SDS는 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남에 국가 컴퓨팅센터와 구미 AI데이터센터 등 다거점 인프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현재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건립할 특수목적회사(SPC) 컨소시엄의 주사업자로, 전남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2028년까지 1.5만장 규모의 GPU를 확보하고 학계,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에 이를 공급함으로써 글로벌 AI G3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를 뒷받침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이달 초 인수를 완료한 플랙트그룹(이하 플랙트)의 한국 생산라인 건립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또 삼성SDI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유력한 후보지로는 울산 사업장이 검토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중인 8.6세대 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 시설에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양산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전기는 지난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거점 생산 기지인 부산에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삼성은 향후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하는 채용 계획도 발표했다.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일부에서 (미국 투자 확대로) 국내 산업 투자 축소 우려가 있지만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지금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삼성은 지난 9월 약속한대로 향후 5년간 국내에서 6만명을 고용하겠다”고 다시 한번 약속했다.

이날 협력회사와의 상생안도 발표됐다. 삼성은 1~3차 협력회사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설비투자, 기술개발, 운영자금 등에 필요한 자금 대출에 대해 저리로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는 1051개사에 2조321억원을 지원중이다.

이 회장은 “삼성은 국내 투자 확대, 또 청년의 좋은 일자리 창출 그리고 중소기업 벤처 기업과의 상생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