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제가 발목, 기업은 경직, 인재도 부족
IMD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 랭킹 2025'에서 한국 순위. 보고서 발췌
올해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이 4년만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각종 규제로 민첩성·유연성이 떨어졌고 인공지능(AI) 인재 확보전에서도 앞서가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16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전 세계 69개국 대상으로 평가한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WDCR) 2025'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전년 6위에서 9계단 추락해 15위를 기록했다. 기존 10위권 내 국가 중 순위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한국은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2위, 인구 2000만명 이상 30개국 중에선 미국 다음 2위였다. 올해는 전체 순위에서 홍콩(4위), 대만(10위), 중국(12위)에게도 밀렸다.
WDCR은 △신기술 이해·개발에 필요한 '지식' △디지털전환(DX)을 가능케 하는 전반적 환경의 '기술' △국가 DX 준비 수준인 '미래준비도'의 3가지 핵심 분야, 이에 따른 총 9가지 구성요소, 이들을 뒷받침하는 여러 하위지표로 구성된다. 한국의 경우 핵심 분야 중 지식(8위)은 순위를 유지했으나 기술(14→30위)과 미래준비도(3→15위)에서 급격한 하락을 보였다.
지식 분야는 그나마 순위를 지켰지만 구성요소 중 인재(19→49위) 순위는 30계단이나 미끄러졌으다. 기술 분야에선 3가지 구성요소 중 규제여건(18→38위)의 순위가 가장 크게 내려갔고, 자본(17→27위)과 기술여건(9→15위)도 하락했다.
미래준비도 분야에서 비즈니스 민첩성(2→14위), 정보기술(IT) 통합(6→20위) 모두 상위권에서 멀어졌다. 하위지표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것은 민관 파트너십(33→59위)이고, 현 세태를 반영하듯 사이버보안(20→40위)도 낙폭이 컸다.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 교수는 "지난 1년동안 다소 어수선한 상황이 있었어도 한국이 AI 중심으로 나름 잘 준비한다고 여겼는데 다소 충격적인 결과"라며 "AI 인재 양성과 유입을 위해서도 획기적인 정책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올해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이 4년만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각종 규제로 민첩성·유연성이 떨어졌고 인공지능(AI) 인재 확보전에서도 앞서가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16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전 세계 69개국 대상으로 평가한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WDCR) 2025'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전년 6위에서 9계단 추락해 15위를 기록했다. 기존 10위권 내 국가 중 순위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한국은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2위, 인구 2000만명 이상 30개국 중에선 미국 다음 2위였다. 올해는 전체 순위에서 홍콩(4위), 대만(10위), 중국(12위)에게도 밀렸다.
WDCR은 △신기술 이해·개발에 필요한 '지식' △디지털전환(DX)을 가능케 하는 전반적 환경의 '기술' △국가 DX 준비 수준인 '미래준비도'의 3가지 핵심 분야, 이에 따른 총 9가지 구성요소, 이들을 뒷받침하는 여러 하위지표로 구성된다. 한국의 경우 핵심 분야 중 지식(8위)은 순위를 유지했으나 기술(14→30위)과 미래준비도(3→15위)에서 급격한 하락을 보였다.
지식 분야는 그나마 순위를 지켰지만 구성요소 중 인재(19→49위) 순위는 30계단이나 미끄러졌으다. 기술 분야에선 3가지 구성요소 중 규제여건(18→38위)의 순위가 가장 크게 내려갔고, 자본(17→27위)과 기술여건(9→15위)도 하락했다.
미래준비도 분야에서 비즈니스 민첩성(2→14위), 정보기술(IT) 통합(6→20위) 모두 상위권에서 멀어졌다. 하위지표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것은 민관 파트너십(33→59위)이고, 현 세태를 반영하듯 사이버보안(20→40위)도 낙폭이 컸다.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 교수는 "지난 1년동안 다소 어수선한 상황이 있었어도 한국이 AI 중심으로 나름 잘 준비한다고 여겼는데 다소 충격적인 결과"라며 "AI 인재 양성과 유입을 위해서도 획기적인 정책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