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398615_001_20251116182211938.jpg?type=w800

국내 투자, 지역 산업 활성화 당부...규제 완화, 재정 투자 약속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7개 그룹 총수들을 만나 “한미 통상 안보 협상 과정에서 가장 애를 많이 쓰신 것은 기업인들”이라고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주재하고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이 이렇게 합이 잘 맞아서 공동 대응을 한 사례가 없었던 것 같다”며 “전적으로 기업인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국제 질서 변경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동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고 좋은 상황을 만들기보다는 나쁜 상황을 만들지 않는 게 최선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라면 성과,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혹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그런 걱정들을 한다”면서 “그 걱정들은 없도록 여러분들이 잘 조치해 주실 걸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사진_뉴시스
이 대통령은 또 “대한민국 균형 발전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도록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는 기업인들이 기업 활동을 하는데 장애가 최소화되도록 총력을 다할 생각”이라며 “친(親) 기업, 반(反) 기업 이런 소리 하는 데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여러분께 정말 필요한 게 규제 같다”며 “예를 들면 규제 완화 또는 해제 철폐 중에서 가능한 것이 어떤 게 있을지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면 신속하게 정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재정 투자도 마찬가지고 R&D 개발 또는 위험 영역에 투자해서 우리 재정이 후순위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우리가 인수한다든지, 손실을 우선 순위로 감수한다든지 새로운 방식들도 얼마든지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모험적인 투자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그런 방식도 동원해 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노사 관계에 대해서는 “노동과 경영이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업 측면에서도 '임금 착취' 소리를 들어가면서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 그런 점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첨단 기술 산업 같은 경우 역량이 문제지 인건비나 액수 차원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이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관용적이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