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로봇산업 구조 개편…“플랫폼·펀드·타워 시급”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의원
경기도 인공지능(AI) 로봇 산업이 대기업 위주로 돌아가면서 중소기업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경기도의회에서 제기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AI 도입 격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경기도 경제의 기반인 중소기업을 중심에 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전석훈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3)은 최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 AI 로봇산업 정책 기획을 위한 토론회'에서 “경기도 AI 로봇 정책이 대기업 중심의 '그들만의 리그'로 굳어지고 있다”며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을 전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토론회는 경기도 AI국,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로봇 산업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황정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센터장이 국내 AI 로봇 도입 현황과 과제를 발표했고, 경기도와 연구기관, 경기테크노파크, 업계 인사들이 현장의 애로와 제도 개선 방안을 공유했다.
전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 최대 제조·서비스 기반을 갖고 있는 만큼, AI 격차 문제를 선제적으로 다루지 못하면 지역 경쟁력이 한꺼번에 흔들릴 수 있다”고 했다.
토론회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의 AI 도입률은 48.3%인 반면 중소기업은 28.7%로 절반 수준에 그친다. 전 의원은 이 수치를 “위험한 수준의 격차”라고 규정하며 “기술력이 없어서라기보다, 도입 비용과 무엇을 도입해야 할지조차 알기 어려운 정보 부족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 표준 모델과 컨설팅, 레퍼런스 정보가 대기업 위주로 쌓이면서 중소기업은 “시작선에 조차 서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성남의 한 보철 제조 중소기업이 약 2500만원짜리 로봇팔 한 대를 도입해 생산성을 6배 높인 사례도 소개됐다.
전 의원은 “수억 원짜리 시스템이 아니어도 현장에 맞는 '작은 AI'만 있어도 변화가 크다”며 “AI 로봇이 중소기업에 '그림의 떡'이 아니라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현장의 무기'가 되도록 정책 판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중소기업 중심 AI 로봇 생태계를 위해 △중소기업과 솔루션 공급사를 연결하는 '경기도형 피지컬 AI 솔루션 플랫폼' 구축 △로봇 도입·시스템 통합(SI) 비용과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맞춤형 로봇 펀드' 조성 △경기도와 산하 기관, 시·군에 흩어진 AI 사업을 총괄할 '경기 AI 컨트롤 타워' 설치 등 3대 과제를 제안했다.
전 의원은 “개별 사업을 조금씩 늘리는 방식으로는 격차를 줄이기 어렵다”며 “플랫폼·펀드·컨트롤타워를 축으로 한 묶음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토론회를 출발점으로 관련 제도 보완을 추진하겠다”며 “경기도 경제의 실핏줄인 중소기업이 AI 로봇을 '그림의 떡'이 아닌 '손에 잡히는 무기'로 쓸 수 있도록, 경기도가 대한민국 피지컬 AI 산업의 심장 역할을 할 때까지 의회 차원에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인공지능(AI) 로봇 산업이 대기업 위주로 돌아가면서 중소기업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경기도의회에서 제기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AI 도입 격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경기도 경제의 기반인 중소기업을 중심에 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전석훈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3)은 최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 AI 로봇산업 정책 기획을 위한 토론회'에서 “경기도 AI 로봇 정책이 대기업 중심의 '그들만의 리그'로 굳어지고 있다”며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을 전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토론회는 경기도 AI국,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로봇 산업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황정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센터장이 국내 AI 로봇 도입 현황과 과제를 발표했고, 경기도와 연구기관, 경기테크노파크, 업계 인사들이 현장의 애로와 제도 개선 방안을 공유했다.
전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 최대 제조·서비스 기반을 갖고 있는 만큼, AI 격차 문제를 선제적으로 다루지 못하면 지역 경쟁력이 한꺼번에 흔들릴 수 있다”고 했다.
토론회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의 AI 도입률은 48.3%인 반면 중소기업은 28.7%로 절반 수준에 그친다. 전 의원은 이 수치를 “위험한 수준의 격차”라고 규정하며 “기술력이 없어서라기보다, 도입 비용과 무엇을 도입해야 할지조차 알기 어려운 정보 부족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 표준 모델과 컨설팅, 레퍼런스 정보가 대기업 위주로 쌓이면서 중소기업은 “시작선에 조차 서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성남의 한 보철 제조 중소기업이 약 2500만원짜리 로봇팔 한 대를 도입해 생산성을 6배 높인 사례도 소개됐다.
전 의원은 “수억 원짜리 시스템이 아니어도 현장에 맞는 '작은 AI'만 있어도 변화가 크다”며 “AI 로봇이 중소기업에 '그림의 떡'이 아니라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현장의 무기'가 되도록 정책 판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중소기업 중심 AI 로봇 생태계를 위해 △중소기업과 솔루션 공급사를 연결하는 '경기도형 피지컬 AI 솔루션 플랫폼' 구축 △로봇 도입·시스템 통합(SI) 비용과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맞춤형 로봇 펀드' 조성 △경기도와 산하 기관, 시·군에 흩어진 AI 사업을 총괄할 '경기 AI 컨트롤 타워' 설치 등 3대 과제를 제안했다.
전 의원은 “개별 사업을 조금씩 늘리는 방식으로는 격차를 줄이기 어렵다”며 “플랫폼·펀드·컨트롤타워를 축으로 한 묶음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토론회를 출발점으로 관련 제도 보완을 추진하겠다”며 “경기도 경제의 실핏줄인 중소기업이 AI 로봇을 '그림의 떡'이 아닌 '손에 잡히는 무기'로 쓸 수 있도록, 경기도가 대한민국 피지컬 AI 산업의 심장 역할을 할 때까지 의회 차원에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