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93817_001_20251117060111535.png?type=w800

한국 기업 10곳 중 6곳이 현재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을 꼽았다. 또 5년 뒤에는 중국과 수출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10대 수출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200개사 응답)으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현재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62.5%)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미국(22.5%), 일본(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5년 뒤인 20230년 최대 수출 경쟁국을 묻는 질문에는 중국(68.5%), 미국(22.0%), 일본(5.0%)으로 응답하면서 중국의 응답 비중이 6% 포인트 상승했다.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하고 미국, 일본, 중국의 기업경쟁력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해 기업들은 2025년 현재에는 미국 107.2, 중국 102.2, 일본 93.5라고 응답했고,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보고, 중국과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비교해보면, 2025년 현재 중국은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한국의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5년 뒤인 2030년에는 10개 주력업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한국 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분야별 기업경쟁력 비교 결과 중국은 가격경쟁력, 생산성 등에서, 미국은 상품브랜드, 전문인력, 핵심기술 등에서 한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의 주요 걸림돌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와 ‘대외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이어·인구감축 등에 따른 내수 부진(19.6%), 인공지능(AI) 등 핵심기술인력 부족(18.5%), 경쟁국 대비 낙후된 노동시장 및 기업법제(11.3%)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우리나라의 기업경쟁력이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으며, 향후 5년 후에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라며, “특히, 5년 후 중국의 기업경쟁력은 미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고 해석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