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675049_001_20251117202413012.jpg?type=w800

사미 엘 마스리(Dr. Sami El Masri) 벨기에 임플란트 전문의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치아 상실은 노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변화지만, 임플란트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누구나 자연스럽고 기능적인 대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임플란트가 대중화될수록 중요한 것은 ‘시술의 기술력’보다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임플란트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제품이 아니라, 나의 구강 건강을 평생 책임질 ‘파트너’를 고르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

유럽 임플란트 시장은 오랜 임상 데이터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중시해왔다. 반면 한국은 디지털 기술 도입과 심미적 완성도에서 세계적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접근 방식은 다르지만, 두 시장의 공통점은 명확하다. 바로 ‘디지털 덴티스트리(Digital Dentistry)’의 확산이다.

3D 영상 분석, AI 기반 진단, CAD/CAM 시스템을 통한 정밀 보철 제작 등 첨단 기술이 임플란트 치료의 모든 단계에 통합되면서 시술 정확도와 일관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앤서지(Anthogyr) X3® 로드쇼’에 참석하며 느낀 점은 한국 치과의 디지털 기술력은 이미 세계 정상급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에서는 디지털 진단과 가이드 수술이 임상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빠른 혁신 속도는 글로벌 치의학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 오랜 기간의 임상 검증을 통해 안정성과 재현성을 입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반면 한국은 현장 중심의 실행력과 빠른 기술 수용으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실질적인 임상 표준으로 정착시켰다. 두 접근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결국 ‘검증과 혁신의 균형’이 임플란트 진료의 진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임플란트 성공의 핵심은 여전히 임상 근거와 환자 맞춤 설계다. 환자의 치조골 상태, 잇몸 건강, 교합 관계, 전신 질환 등은 치료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임플란트 브랜드를 선택할 때는 단기적인 후기보다는 10년 이상의 장기 임상 데이터와 과학적 검증 여부를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이런 점에서 스트라우만 그룹 산하의 앤서지(Anthogyr)는 실용적 혁신을 추구하는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선보인 ‘앤서지 X3’ 시스템은 ‘장기적 골 안정성(Long-term bone stability)’을 핵심 철학으로 설계됐다. 약 8000건이 넘는 임상 데이터를 통해 안정성을 입증했으며, 표준화된 시술 프로토콜로 복잡한 케이스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장한다. 즉, 의료진의 효율성과 환자의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통합적 임상 솔루션이다.

임플란트 치료의 완성은 단순히 수술 기술에 달려 있지 않다. 정밀한 수술 계획, 보철의 정확한 적합, 그리고 체계적인 사후 관리가 유기적으로 맞물릴 때 비로소 장기적인 성공을 담보할 수 있다. 의료진의 지속적인 학습과 환자의 올바른 정보 이해, 그리고 상호 신뢰가 치료의 질을 결정짓는다.

초고령화 시대, 임플란트는 더 이상 단순히 치아를 되찾는 치료가 아니다. 삶의 질과 건강수명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디지털 기술, 임상 근거,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가 조화를 이룰 때, 우리는 보다 건강하고 품격 있는 노년을 맞이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임플란트의 본질이자, 치의학이 지향해야 할 진정한 미래다.

사미 엘 마스리(Dr. Sami El Masri) 벨기에 임플란트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