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구조적 성장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정책과 산업 수요가 맞물린 강한 성장 모멘텀이 도래했습니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17일 서울 여의도 하나증권에서 기관투자자 대상 CEO 간담회를 열고 “국내에서도 2026년부터 대규모 AI·데이터·클라우드 예산이 본격 투입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2025년 주요 경영 성과와 2026년 성장 전략, 자회사 다이퀘스트의 상장 추진 계획을 종합 발표했다. AI산업의 구조적 성장 흐름 속에서 솔트룩스가 확보한 기술 경쟁력과 산업별 성과, 향후 사업 확장 전략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솔트룩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 기반 2025년 국가기록물, 법률, 해양, 공공안전·국방 등 여러 산업 버티컬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점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자회사 구버가 운영하는 글로벌 B2C AI 에이전트 서비스 '구버'도 SPARK 2050 두바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솔트룩스는 올해 전년 수준의 실적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경영 체력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확보한 500억~600억원 규모 영업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내년 성장도 자신했다. 자회사 다이퀘스트는 국내 콜센터 AI·챗봇 시스템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1위 기록을 바탕으로 내년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한다.
이 대표는 “솔트룩스가 축적한 AI 기술과 압도적인 산업별 레퍼런스, 탄탄한 재무 기반은 가장 강력한 성장 엔진”이라며 “2026년부터 시장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버티컬 AI 시장 1위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그룹사 시너지로 기업가치를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