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251118_0001995551_web_20251118092020_20251118120049557.jpg?type=w800

KC 인증 면제된 해외직구 ICT 제품 29개 검사…7개 제품 부적합
헤어드라이어·전기드릴·선풍기·무선 마이크·CCTV 등 기준 미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한 해외직구 ICT 제품 전파 안전성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헤어 드라이어 제품.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해외에서 직구한 헤어 드라이어, 휴대용 선풍기, 전기드릴, 마이크 등 전자 제품 7개가 전파 안전성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정보통신기술) 제품의 해외직구 급증에 따라 국민 안전을 위해 해외직구 ICT 제품의 전파 안전성을 시험한 결과 29개 제품 중 7개 제품이 기준에 부적합하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해외직구 제품에 대해서는 개인 사용 목적임을 고려해 KC 인증(전파)을 면제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KC 인증을 받지 않아 전파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해외직구 제품 중 특히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무선 마이크, 무선 이어폰, 무선 키보드, 무선충전기, 선풍기, 전기밥솥, 전기 주전자, 헤어 드라이어, 마사지건, 스팀다리미 등 29개 제품에 대해 검사했다.

검사 결과 테무, 알리, 아마존과 같은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구매한 헤어 드라이어, 전기드릴, 휴대용 선풍기, 목걸이형 선풍기, 스탠드형 선풍기, 무선 마이크, CCTV 등 7개 제품이 기준에 부적합했다. 해당 제품들의 제조사의 경우에는 과기정통부가 조사한 제품 자체에도 표기가 되어있지 않아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정통부는 국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게 부적합 제품의 판매 차단을 요청했고, 국립전파연구원과 소비자24 누리집에 부적합 제품의 정보를 공개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해외직구를 통해 위해 물품이 국내 유통되지 않도록 안전성 조사 및 모니터링하고, 공정위, 관세청, 국표원, 식약처, 환경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