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 금융과 온체인 금융 연결 가속바이낸스는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발행한 미국 달러 기반 디지털 유동성 펀드 ‘BUIDL’을 자사의 장외 담보 인프라에 통합했다고 18일 밝혔다.
‘BUIDL’은 블랙록이 2024년 3월 시큐어리타이즈를 통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선보인 첫 토큰화 펀드로, 국채나 환매조건부채권 등 실물 자산에 투자해 토큰 보유자에게 수익을 배당하는 기관 전용 머니마켓펀드다.
이번 통합으로 기관 투자자들은 BUIDL 토큰을 제3자 수탁기관에 안전하게 보관한 상태에서도 바이낸스를 통해 거래소 신용을 활용해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수탁 안정성과 거래소 유동성이 결합되어 자본 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낸스, 블랙록 ‘BUIDL’ 토큰화 펀드 담보 활용
바이낸스의 장외 담보 인프라는 ‘뱅킹 트라이파티’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이는 법정 화폐나 국채 등 담보 자산을 제3자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해당 자산을 거래소 내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블랙록의 글로벌 디지털 자산 책임자인 로비 미치닉은 BUIDL이 주요 디지털 시장 인프라에서 담보로 활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전통 금융의 핵심 구조가 온체인 시장으로 자연스럽게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BUIDL은 또한 디지털 자산 시장 내 영향력 확대를 위해 기존 이더리움 기반에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NB 체인)으로 생태계를 확장한다. BNB 체인 사업개발 책임자인 사라 송은 BNB 체인이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설계된 블록체인으로, BUIDL은 실물 자산을 프로그래밍 가능한 금융 상품으로 전환해 온체인 상에서 새로운 투자 전략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바이낸스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융합을 가속화하는 한편, 규제 친화적이고 실용적인 디지털 금융 솔루션 제공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관 대상 핵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캐서린 첸 바이낸스 VIP 및 기관사업 부문 대표는 “기관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담보 자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해왔다”며 “이번에 ‘BUIDL’이 담보 시스템에 추가되면서 기관의 수요를 충족함은 물론,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자산 운용 규모 확대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BUIDL’은 블랙록이 2024년 3월 시큐어리타이즈를 통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선보인 첫 토큰화 펀드로, 국채나 환매조건부채권 등 실물 자산에 투자해 토큰 보유자에게 수익을 배당하는 기관 전용 머니마켓펀드다.
이번 통합으로 기관 투자자들은 BUIDL 토큰을 제3자 수탁기관에 안전하게 보관한 상태에서도 바이낸스를 통해 거래소 신용을 활용해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수탁 안정성과 거래소 유동성이 결합되어 자본 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낸스의 장외 담보 인프라는 ‘뱅킹 트라이파티’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이는 법정 화폐나 국채 등 담보 자산을 제3자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해당 자산을 거래소 내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블랙록의 글로벌 디지털 자산 책임자인 로비 미치닉은 BUIDL이 주요 디지털 시장 인프라에서 담보로 활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전통 금융의 핵심 구조가 온체인 시장으로 자연스럽게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BUIDL은 또한 디지털 자산 시장 내 영향력 확대를 위해 기존 이더리움 기반에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NB 체인)으로 생태계를 확장한다. BNB 체인 사업개발 책임자인 사라 송은 BNB 체인이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설계된 블록체인으로, BUIDL은 실물 자산을 프로그래밍 가능한 금융 상품으로 전환해 온체인 상에서 새로운 투자 전략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바이낸스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융합을 가속화하는 한편, 규제 친화적이고 실용적인 디지털 금융 솔루션 제공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관 대상 핵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캐서린 첸 바이낸스 VIP 및 기관사업 부문 대표는 “기관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담보 자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해왔다”며 “이번에 ‘BUIDL’이 담보 시스템에 추가되면서 기관의 수요를 충족함은 물론,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자산 운용 규모 확대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