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94322_001_20251118201810526.png?type=w800

양국 간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 발표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 한-UAE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는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등을 포함해 양국 간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글로벌 AI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주요국들과의 전략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그 첫 단추로서 UAE와의 AI·에너지 분야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간 국내에서 축적한 역량을 해외시장으로 펼쳐나가는 첫 사례로, 대한민국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AI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함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먼저 양국은 AI분야 최고의사결정기구인 한국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와 UAE 아부다비 인공지능·첨단기술위원회(AIATC) 간의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AI분야 포괄적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중점 협력 분야는 AI 투자와 인프라 구축, AI 공급망 확장, AI·첨단기술 채택 가속화, AI 연구개발 등이다. 이를 계기로 AI 기술·응용서비스 개발부터 AI·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까지 폭넓게 협력해나갈 방침이다.

양국은 첫 대형 프로젝트로 ‘에너지믹스 기반 하이퍼스케일 AI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UAE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원전·가스·재생에너지 등을 함께 활용하는 전력망을 구축한다. 반도체 공급망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에너지·배터리, 친환경 솔루션 등 기후테크와 AI스타트업 및 AI데이터센터 관련 경험을 갖춘 국내기업들에 글로벌 시장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양국은 ‘피지컬AI 기반의 항만·물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완전자동화 터미널을 운영 중인 우리 경험과 데이터 기반 피지컬AI를 활용해 보다 효율적인 자동화·지능화된 항만을 구현하도록 협력한다.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 항만으로 삼아 실증·검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국은 이로써 스마트항만·물류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UAE AI특임장관과 함께 양국 AI분야 협력 확대를 위해 민간교류와 AI투자를 촉진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UAE의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AI전환(AX) 프로젝트에 우리 AI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양측은 이런 협력사항을 지속 추진하기 위해 국장급 AI정책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이로써 아부다비뿐 아니라 두바이까지 아우르는 UAE 정부의 국무위원과 AI거버넌스 협력채널을 한층 강화한다.

정부는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신속하게 이행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국가AI전략위를 중심으로 과기정통부, 기후에너지환경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부 등 관계부처 및 기관, 민간기업 등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UAE 측과 연내 구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논의하고 세부 협력방안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