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AI 인프라 사업
韓 기업 글로벌 진출 확대
피지컬AI 등 전방위 협력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영접나온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동취재
[서울경제]
세계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한국이 참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AI전략위원회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등을 포함한 양국 간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UAE 스타게이트는 아부다비에 초기 투자만 30조 원 이상, 최대 5GW(기가와트)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내년 200㎿급 데이터센터 가동이 추진되고 있다. UAE와 미국 등에 이어 한국도 이에 참여해 국내 에너지·배터리, 친환경 솔루션 분야 등 기후테크 분야뿐 아니라 AI 스타트업, AI 데이터센터 경험을 갖춘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큰 기회를 만들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AI전략위와 UAE AI·첨단기술위원회(AIATC)는 이를 위해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AI 분야에서 양국 간 포괄적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중점 협력 분야는 AI 투자와 인프라 구축, AI 공급망 확장, AI 및 첨단기술의 채택 가속화, AI 연구개발 등으로, 양국은 동 프레임워크 발표를 계기로 AI 기술· 응용 서비스의 개발부터 AI·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까지 폭넓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양국은 상호 번영과 발전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첫 번째 프로젝트로 ‘에너지믹스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신속히 추진한다. UAE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원전, 가스, 재생에너지 등을 함께 활용하는 전력망을 구축하는 한편 반도체 공급망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양국은 ‘피지컬 AI 기반의 항만·물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완전자동화 터미널을 운영 중인 우리 경험과 데이터 기반의 피지컬AI를 활용해 보다 효율적인 자동화·지능화된 항만을 구현하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양국은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 항만으로 삼아 실증·검증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피지컬 AI 기반의 스마트 항만으로 전환하는 작업은 피지컬 AI 기술 기업들에게 성장의 기회가 될 뿐 아니라 AI 기반의 항만·물류 시스템을 향후 전 세계 주요 항만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한·UAE 양국은 스마트 항만·물류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UAE 인공지능특임장관과 함께 양국 AI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해 연구기관·기업·전문가 교류를 지원하고 민간 교류 및 AI 투자를 촉진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UAE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X 프로젝트에 우리 AI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UAE 인공지능특임장관은 이러한 협력 사항을 지속 추진하기 위해 국장급 AI 정책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이는 연합국가인 UAE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부다비뿐만 아니라 두바이까지 아우르는 UAE 정부의 국무위원과 AI 거버넌스 협력채널을 한층 강화하는 의의가 있다.
정부는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신속하게 이행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AI전략위를 중심으로 과기정통부, 기후부, 해수부, 산업부 등 관계부처 및 기관, 민간기업 등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UAE 측과 연내 구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하고 세부 협력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韓 기업 글로벌 진출 확대
피지컬AI 등 전방위 협력
[서울경제]
세계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한국이 참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AI전략위원회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등을 포함한 양국 간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UAE 스타게이트는 아부다비에 초기 투자만 30조 원 이상, 최대 5GW(기가와트)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내년 200㎿급 데이터센터 가동이 추진되고 있다. UAE와 미국 등에 이어 한국도 이에 참여해 국내 에너지·배터리, 친환경 솔루션 분야 등 기후테크 분야뿐 아니라 AI 스타트업, AI 데이터센터 경험을 갖춘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큰 기회를 만들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AI전략위와 UAE AI·첨단기술위원회(AIATC)는 이를 위해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AI 분야에서 양국 간 포괄적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중점 협력 분야는 AI 투자와 인프라 구축, AI 공급망 확장, AI 및 첨단기술의 채택 가속화, AI 연구개발 등으로, 양국은 동 프레임워크 발표를 계기로 AI 기술· 응용 서비스의 개발부터 AI·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까지 폭넓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양국은 상호 번영과 발전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첫 번째 프로젝트로 ‘에너지믹스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신속히 추진한다. UAE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원전, 가스, 재생에너지 등을 함께 활용하는 전력망을 구축하는 한편 반도체 공급망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양국은 ‘피지컬 AI 기반의 항만·물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완전자동화 터미널을 운영 중인 우리 경험과 데이터 기반의 피지컬AI를 활용해 보다 효율적인 자동화·지능화된 항만을 구현하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양국은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 항만으로 삼아 실증·검증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피지컬 AI 기반의 스마트 항만으로 전환하는 작업은 피지컬 AI 기술 기업들에게 성장의 기회가 될 뿐 아니라 AI 기반의 항만·물류 시스템을 향후 전 세계 주요 항만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한·UAE 양국은 스마트 항만·물류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UAE 인공지능특임장관과 함께 양국 AI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해 연구기관·기업·전문가 교류를 지원하고 민간 교류 및 AI 투자를 촉진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UAE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X 프로젝트에 우리 AI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UAE 인공지능특임장관은 이러한 협력 사항을 지속 추진하기 위해 국장급 AI 정책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이는 연합국가인 UAE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부다비뿐만 아니라 두바이까지 아우르는 UAE 정부의 국무위원과 AI 거버넌스 협력채널을 한층 강화하는 의의가 있다.
정부는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신속하게 이행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AI전략위를 중심으로 과기정통부, 기후부, 해수부, 산업부 등 관계부처 및 기관, 민간기업 등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UAE 측과 연내 구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하고 세부 협력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