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연례 기술 컨퍼런스 ‘이그나이트 2025’ 기조연설 무대에 오픈AI가 아닌 경쟁사 앤스로픽을 초대했다. MS는 이날 앤스로픽에 거액 투자를 단행하며 양사 관계를 ‘하트’ 문양으로까지 표현했다. MS와 오픈AI 간 갈등이 봉합됐으나 과거와 같은 ‘밀월’ 관계로 돌아가기는 힘들다는 점을 상징하는 듯한 장면이다.
18일(현지 시간)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MS 이그나이트 2025에서 MS와 앤스로픽 간 협력이 발표되고 있다. 윤민혁 기자
MS는 18일(현지 시간)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이그나이트 2025 기조연설에서 마이크 크리거 앤스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를 무대에 올렸다. MS 오피스·코파일럿 365 등에 기존 오픈AI GPT 모델 외 앤스로픽 ‘클로드’ 모델이 신규 적용됐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MS는 기조연설이 진행된 체이스센터 내부 모든 화면에 ‘MS♥앤스로픽’ 로고를 띄우며 양사 협력을 화려하게 소개하기도 했다. 크리거 CPO는 “처음부터 두 회사가 DNA와 신뢰를 공유한다는 느낌이 들었다”며 “신뢰할 수 있는 앤스로픽 모델과 MS 플랫폼을 결합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MS AI 분야 최대 협력사는 오픈AI다. MS는 오픈AI 공익법인(PBC) 전환 후에도 최대 외부 주주로 남을 예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날 기조연설은 물론 행사 전체 세션 중에서도 오픈AI측 공식 참여자는 없었다. 올해 MS 이그나이트가 오픈AI 본사가 위치한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묘한 그림이다. MS가 앤스로픽과 관계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하트 문양은 테크계에서 오픈AI의 상징처럼 쓰이기도 한다. 과거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축출 사태 당시 직원들이 하트 이모지로 올트먼에 대한 지지를 표현했고, 오픈AI는 브랜딩과 마케팅에 하트 부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날 MS는 엔비디아와 함께 앤스로픽에 각각 50억 달러, 1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앤스로픽은 엔비디아 칩셋이 탑재된 MS 애저 클라우드 서버 임대에 30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할 예정이다. MS의 지분 확보로 앤스로픽 또한 오픈AI와 같은 ‘관계사’가 된 셈이다. 이로써 앤스로픽은 글로벌 클라우드 3사인 아마존, 구글, MS 투자를 모두 유치한 유일한 주요 AI 모델 개발사가 됐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투자 소식과 함께 전한 말도 의미심장하다. 그는 “업계 전체가 제로섬 게임이나 승자독식의 과대광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AI라는 기회는 너무 커서 다른 방식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특정 AI 모델이나 클라우드가 시장을 독점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이그나이트 2025 기조연설 무대에 오른 저드슨 알토프 MS 커머셜 부문 CEO. 윤민혁 기자
MS는 앤스로픽 외에도 ‘다중 AI 모델’ 전략을 강화하며 오픈AI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이날 본격 출시한 클라우드 AI 모델 라우터는 GPT-5 외 딥시크, 라마, 그록4 등 총 12개 모델을 지원한다. 특별한 설정 없이도 최적·최소비용 AI 모델을 선택해주는 기능이다. 이번 행사에서 강조한 AI 에이전트 분야에서도 외부 협력사를 늘렸다. 특히 중국산 AI 에이전트로 ‘제2의 딥시크’급 충격을 준 마누스 AI 공동창업자 타오 장을 기조연설에 초대한 점이 인상적이다. 마누스는 현재 본사를 싱가포르로 옮겼으나 중국계 AI라는 점에서 보안 우려를 사고 있다.
이날 행사는 최근 MS 커머셜 부문 CEO에 오른 저드슨 알토프의 ‘데뷔 무대’이기도 했다. 2시간 여 이어진 기조연설은 나델라 등장 없이 알토프와 고객사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꾸며졌다. 알토프가 확고한 MS ‘2인자’임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나델라는 알토프를 커머셜 CEO로 임명하며 본인은 데이터센터 확장, AI 혁신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나델라 CEO 취임 11년차를 맞은 MS가 본격적인 후계구도를 준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연례 기술 컨퍼런스 ‘이그나이트 2025’ 기조연설 무대에 오픈AI가 아닌 경쟁사 앤스로픽을 초대했다. MS는 이날 앤스로픽에 거액 투자를 단행하며 양사 관계를 ‘하트’ 문양으로까지 표현했다. MS와 오픈AI 간 갈등이 봉합됐으나 과거와 같은 ‘밀월’ 관계로 돌아가기는 힘들다는 점을 상징하는 듯한 장면이다.
MS는 18일(현지 시간)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이그나이트 2025 기조연설에서 마이크 크리거 앤스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를 무대에 올렸다. MS 오피스·코파일럿 365 등에 기존 오픈AI GPT 모델 외 앤스로픽 ‘클로드’ 모델이 신규 적용됐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MS는 기조연설이 진행된 체이스센터 내부 모든 화면에 ‘MS♥앤스로픽’ 로고를 띄우며 양사 협력을 화려하게 소개하기도 했다. 크리거 CPO는 “처음부터 두 회사가 DNA와 신뢰를 공유한다는 느낌이 들었다”며 “신뢰할 수 있는 앤스로픽 모델과 MS 플랫폼을 결합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MS AI 분야 최대 협력사는 오픈AI다. MS는 오픈AI 공익법인(PBC) 전환 후에도 최대 외부 주주로 남을 예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날 기조연설은 물론 행사 전체 세션 중에서도 오픈AI측 공식 참여자는 없었다. 올해 MS 이그나이트가 오픈AI 본사가 위치한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묘한 그림이다. MS가 앤스로픽과 관계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하트 문양은 테크계에서 오픈AI의 상징처럼 쓰이기도 한다. 과거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축출 사태 당시 직원들이 하트 이모지로 올트먼에 대한 지지를 표현했고, 오픈AI는 브랜딩과 마케팅에 하트 부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날 MS는 엔비디아와 함께 앤스로픽에 각각 50억 달러, 1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앤스로픽은 엔비디아 칩셋이 탑재된 MS 애저 클라우드 서버 임대에 30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할 예정이다. MS의 지분 확보로 앤스로픽 또한 오픈AI와 같은 ‘관계사’가 된 셈이다. 이로써 앤스로픽은 글로벌 클라우드 3사인 아마존, 구글, MS 투자를 모두 유치한 유일한 주요 AI 모델 개발사가 됐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투자 소식과 함께 전한 말도 의미심장하다. 그는 “업계 전체가 제로섬 게임이나 승자독식의 과대광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AI라는 기회는 너무 커서 다른 방식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특정 AI 모델이나 클라우드가 시장을 독점할 수 없다는 의미다.
MS는 앤스로픽 외에도 ‘다중 AI 모델’ 전략을 강화하며 오픈AI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이날 본격 출시한 클라우드 AI 모델 라우터는 GPT-5 외 딥시크, 라마, 그록4 등 총 12개 모델을 지원한다. 특별한 설정 없이도 최적·최소비용 AI 모델을 선택해주는 기능이다. 이번 행사에서 강조한 AI 에이전트 분야에서도 외부 협력사를 늘렸다. 특히 중국산 AI 에이전트로 ‘제2의 딥시크’급 충격을 준 마누스 AI 공동창업자 타오 장을 기조연설에 초대한 점이 인상적이다. 마누스는 현재 본사를 싱가포르로 옮겼으나 중국계 AI라는 점에서 보안 우려를 사고 있다.
이날 행사는 최근 MS 커머셜 부문 CEO에 오른 저드슨 알토프의 ‘데뷔 무대’이기도 했다. 2시간 여 이어진 기조연설은 나델라 등장 없이 알토프와 고객사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꾸며졌다. 알토프가 확고한 MS ‘2인자’임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나델라는 알토프를 커머셜 CEO로 임명하며 본인은 데이터센터 확장, AI 혁신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나델라 CEO 취임 11년차를 맞은 MS가 본격적인 후계구도를 준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