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251119070300530_01_i_P4_20251119120130185.jpg?type=w800

'AI·IoT' 기반 교통약자 이동안전 플랫폼 구축 등 우수과제 소개

행정안전부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20일 개발원 KLID홀에서 '2025년 데이터 기반 지역문제 해결사업(이하 '공감e가득 사업') 성과공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감e가득 사업'은 2018년부터 행안부가 추진해 온 사업이다. 주민·지방정부·기업이 협력해 인공지능(AI), 드론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 지역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체감형 사업이다.

앞서 행안부 등은 올해 4월 공모를 통해 지자체가 낸 사업 아이디어 중 교통약자 이동권 개선과 외국인 정착지원, 농업 생산성 제고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과제 5개를 선정한 바 있다.

서울 은평구는 '인공지능형 사물인터넷(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안전 플랫폼'을 구축해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 중 사고 위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안전한 이동환경을 조성했다.

울산시는 'AI 기반 외국인 정착지원 온라인 플랫폼'을 마련해 지역 내 외국인과 다문화 가정이 언어장벽 없이 언제든지 필요한 행정·생활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경기 하남시는 'AI 기반 불법 오토바이 단속관리 서비스'를 도입해 보행자 안전 등을 확보했고, 전남 강진군은 '스마트 낚시 관광 플랫폼'을 통해 전자승선명부를 안전관리 시스템과 연계해 낚시객의 안전을 강화했다.

제주도는 '드론 방제 효율화 시스템'을 구축해 해충 방제 과정을 자동·정밀화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고령화된 농촌의 노동 부담을 줄였다.

성과공유회에서는 사전 온라인 주민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된 우수 과제에 대통령·국무총리 표창 등을 시상한다.

행안부는 우수사례를 전국 지방정부로 확산하기 위해 '2025년 공감e가득 사례집'을 제작· 배포할 계획이다.

edd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