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60여명 참여 '달·행성 탐사 융합 워크숍' 개최우주항공청이 달·행성 탐사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과학·기술·사회과학 전문가들과 한자리에 모였다.
우주청은 19~20일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달 및 행성 탐사 과학·기술·사회과학 융합 워크숍'을 열고 중장기 탐사 비전과 우주경제 생태계 구축 방향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달 탐사선 '다누리'. 아시아경제DB
이번 행사에는 극지연구소, IBS,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항우연 등을 비롯해 서울대·KAIST·경희대 등 학계까지 60여 명이 참석했다.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탐사의 사회적 수용성과 경제적 의미를 함께 다루는 것이 목표다.
전문가들은 달·화성 탐사에 필요한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우주 인프라 구축과 관련한 산업·사회적 과제들을 논의했다.
워크숍에서는 △우주항공청의 탐사 추진 계획 △우주경제 활성화 △달·행성 연구 성과 △인프라 기술 개발 현황 등이 발표됐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온라인 강연을 통해 최신 탐사 로봇·계측 기술과 미국의 탐사 운영 방식을 소개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달·화성 표면 분석, 자원 활용(ISRU), 로버·모빌리티 기술, 탐사 인프라 전략 등을 발표했으며, 기술 개발과 함께 경제·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탐사 기술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우주경제 전략도 구체화할 계획이다. 탐사 비용 구조, 산업 생태계, 국제 협력 등 사회과학적 관점이 필수라는 데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강경인 우주청 우주과학탐사부문장은 "과학과 기술, 사회적 가치가 결합된 협력의 장이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할 자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우주청은 19~20일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달 및 행성 탐사 과학·기술·사회과학 융합 워크숍'을 열고 중장기 탐사 비전과 우주경제 생태계 구축 방향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극지연구소, IBS,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항우연 등을 비롯해 서울대·KAIST·경희대 등 학계까지 60여 명이 참석했다.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탐사의 사회적 수용성과 경제적 의미를 함께 다루는 것이 목표다.
전문가들은 달·화성 탐사에 필요한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우주 인프라 구축과 관련한 산업·사회적 과제들을 논의했다.
워크숍에서는 △우주항공청의 탐사 추진 계획 △우주경제 활성화 △달·행성 연구 성과 △인프라 기술 개발 현황 등이 발표됐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온라인 강연을 통해 최신 탐사 로봇·계측 기술과 미국의 탐사 운영 방식을 소개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달·화성 표면 분석, 자원 활용(ISRU), 로버·모빌리티 기술, 탐사 인프라 전략 등을 발표했으며, 기술 개발과 함께 경제·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탐사 기술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우주경제 전략도 구체화할 계획이다. 탐사 비용 구조, 산업 생태계, 국제 협력 등 사회과학적 관점이 필수라는 데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강경인 우주청 우주과학탐사부문장은 "과학과 기술, 사회적 가치가 결합된 협력의 장이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할 자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