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주주에서 투자자로…카카오 "경쟁력 강화 위한 선택"
(카카오 제공)/뉴스1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카카오헬스케어의 최대 주주가 카카오(035720)에서 차바이오그룹으로 바뀐다. 카카오헬스케어에 10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도 이뤄진다. 카카오 측은 헬스케어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차바이오그룹이 카카오로부터 카카오헬스케어의 지분을 700억 원에 확보한다고 19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 중 300억 원을 차바이오텍(085660)의 지분 인수에 400억 원을 카카오헬스케어 지분 재투자에 활용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카카오의 400억 원 외에도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차바이오그룹의 차AI헬스케어로부터 100억 원을 투자받는다. 이와 함께 외부 투자자들로부터 500억 원 규모의 투자도 유치한다.
양사는 오는 2026년 1분기까지 두 차례의 거래로 카카오헬스케어의 지분율을 △차케어스∙차AI헬스케어(차바이오그룹) 43.08% △카카오 29.99% △외부 투자자 26.93%로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카카오헬스케어는 총 10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유치하는 동시에, 최대주주는 카카오에서 차바이오그룹으로 변경된다. 향후 카카오는 카카오헬스케어의 투자자로서 IT 분야 협력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단순 지분 매각이 아닌 헬스케어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대한 양사의 필요에 따른 전략적 선택"이라며 "카카오가 지분 매각 대금 전부를 카카오헬스케어와 차바이오텍에 투자하는 것도 헬스케어 사업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유치한 자금을 바탕으로 △AI 기반 모바일 건강관리 솔루션 파스타(PASTA) △HRS와 헤이콘(Haycorn) 등 의료 데이터 사업 △병원 컨시어지 서비스 케어챗(Karechat) 중심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의료∙글로벌 전문성을 지닌 차바이오그룹과의 시너지로 온∙오프라인 연계 사업 확장 및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한다.
병원∙기업∙학교 등 다양한 오프라인 서비스 경험과 접점을 가진 차바이오그룹과 협력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호주,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베트남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의료 네트워크를 확보한 차바이오그룹과 협력해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차바이오그룹의 글로벌 의료 네트워크에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융합을 빠르게 추진한다는 목표다.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카카오헬스케어의 최대 주주가 카카오(035720)에서 차바이오그룹으로 바뀐다. 카카오헬스케어에 10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도 이뤄진다. 카카오 측은 헬스케어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차바이오그룹이 카카오로부터 카카오헬스케어의 지분을 700억 원에 확보한다고 19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 중 300억 원을 차바이오텍(085660)의 지분 인수에 400억 원을 카카오헬스케어 지분 재투자에 활용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카카오의 400억 원 외에도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차바이오그룹의 차AI헬스케어로부터 100억 원을 투자받는다. 이와 함께 외부 투자자들로부터 500억 원 규모의 투자도 유치한다.
양사는 오는 2026년 1분기까지 두 차례의 거래로 카카오헬스케어의 지분율을 △차케어스∙차AI헬스케어(차바이오그룹) 43.08% △카카오 29.99% △외부 투자자 26.93%로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카카오헬스케어는 총 10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유치하는 동시에, 최대주주는 카카오에서 차바이오그룹으로 변경된다. 향후 카카오는 카카오헬스케어의 투자자로서 IT 분야 협력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단순 지분 매각이 아닌 헬스케어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대한 양사의 필요에 따른 전략적 선택"이라며 "카카오가 지분 매각 대금 전부를 카카오헬스케어와 차바이오텍에 투자하는 것도 헬스케어 사업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유치한 자금을 바탕으로 △AI 기반 모바일 건강관리 솔루션 파스타(PASTA) △HRS와 헤이콘(Haycorn) 등 의료 데이터 사업 △병원 컨시어지 서비스 케어챗(Karechat) 중심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의료∙글로벌 전문성을 지닌 차바이오그룹과의 시너지로 온∙오프라인 연계 사업 확장 및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한다.
병원∙기업∙학교 등 다양한 오프라인 서비스 경험과 접점을 가진 차바이오그룹과 협력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호주,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베트남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의료 네트워크를 확보한 차바이오그룹과 협력해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차바이오그룹의 글로벌 의료 네트워크에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융합을 빠르게 추진한다는 목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