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483931_001_20251120000420855.jpg?type=w800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가 오픈AI의 경쟁사인 앤스로픽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면서 인공지능(AI) 산업의 동맹 구도가 변화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MS는 블로그를 통해 “엔비디아, 앤스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엔비디아와 함께 AI 모델 개발사 앤스로픽에 최대 150억 달러(약 22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앤스로픽은 AI 서비스 ‘클로드’의 개발사로 오픈AI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 중 하나다.

이번 협약으로 앤스로픽은 약 300억 달러 상당의 MS 클라우드 애저(Azure) 구매 계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앤스로픽이 확보할 수 있는 컴퓨팅 용량은 1기가와트(GW) 규모다. MS는 오픈AI와 앤스로픽, 자체 MS 모델 등 기업 고객이 어떤 AI 모델을 선택하든 결과적으로 MS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움직이게 해 오픈AI 의존도는 줄이고, 플랫폼 영향력을 키우려는 전략이다.

빅테크와 스타트업 간의 AI 동맹 네트워크는 한층 더 복잡해지고 있다. 빅테크가 AI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스타트업은 다시 해당 기업의 인프라를 대량 구매하는 순환식 거래(circular AI deals) 등을 통해서다. AI 스타트업은 성장 자금을 확보하고, 빅테크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와 클라우드 고객을 장기간 묶어둘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방식은 최근 AI 업계의 뉴노멀이 되고 있다.

앤스로픽이 이번에 계약한 1GW 규모의 컴퓨팅 용량은 대형 발전소 하나가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력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I 인프라 구축 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운영 등에 막대한 자금을 계속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