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최근 기후 위기와 인구 고령화, 일손 부족 등 농촌의 위기가 심각한데요.
정부가 농촌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농업과학기술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엄승현 기자입니다.
[기자]
전북 김제에서 스마트온실을 사용해 토마토를 재배하는 김기현씨.
김 씨는 농가에서 측정한 생육 정보와 세계 기상 정보 등을 활용해 토마토 재배 가이드를 제공하는 자체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기현/토마토 재배 농가> "AI 기술 도입 전에는 사람이 항상 농장을 운영을 할 때 감각으로 밖에 경험으로 밖에 운영을 할 수가 없었거든요. 하지만 AI 도입을 하고 난 다음에는 당연히 생산량도 늘어나고 에너지도 절약될 수 있는…"
농촌진흥청은 미래 첨단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농업과학기술 인공지능 융합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략은 농업을 전통적인 경험 의존 산업에서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형 산업으로 전환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수립됐습니다.
농진청을 전략을 통해 농가 수입은 20% 향상하고 농작업 위험성은 20% 경감, 기술 개발보급 기간은 30% 단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 생산성 혁신을 이루고, 농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이승돈/농촌진흥청장> "농업과학기술 AI 융합 전략을 추진하게 되면 농업인은 실질적인 소득 증대와 함께 노동 부담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더욱 안전한 영농 환경을 보장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 농촌 소멸 위기 등 우리 농업이 직면한 위기들이 정부의 인공지능 융합 전략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연합뉴스TV 엄승현입니다.
[영상취재 정경환]
[화면제공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인공지능 #농업과학기술_인공지능_융합_전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근 기후 위기와 인구 고령화, 일손 부족 등 농촌의 위기가 심각한데요.
정부가 농촌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농업과학기술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엄승현 기자입니다.
[기자]
전북 김제에서 스마트온실을 사용해 토마토를 재배하는 김기현씨.
김 씨는 농가에서 측정한 생육 정보와 세계 기상 정보 등을 활용해 토마토 재배 가이드를 제공하는 자체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기현/토마토 재배 농가> "AI 기술 도입 전에는 사람이 항상 농장을 운영을 할 때 감각으로 밖에 경험으로 밖에 운영을 할 수가 없었거든요. 하지만 AI 도입을 하고 난 다음에는 당연히 생산량도 늘어나고 에너지도 절약될 수 있는…"
농촌진흥청은 미래 첨단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농업과학기술 인공지능 융합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략은 농업을 전통적인 경험 의존 산업에서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형 산업으로 전환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수립됐습니다.
농진청을 전략을 통해 농가 수입은 20% 향상하고 농작업 위험성은 20% 경감, 기술 개발보급 기간은 30% 단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 생산성 혁신을 이루고, 농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이승돈/농촌진흥청장> "농업과학기술 AI 융합 전략을 추진하게 되면 농업인은 실질적인 소득 증대와 함께 노동 부담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더욱 안전한 영농 환경을 보장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 농촌 소멸 위기 등 우리 농업이 직면한 위기들이 정부의 인공지능 융합 전략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연합뉴스TV 엄승현입니다.
[영상취재 정경환]
[화면제공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인공지능 #농업과학기술_인공지능_융합_전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