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가 지원 본격 속도전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과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HD현대, 학계와 함께 국내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국의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조선·해양의 AI 전환을 위해 규제는 완화하고, 산업 특화 AI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정기선 HD현대 회장 등과 만나 이 같은 협력을 약속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부는 이날 울산과학기술원(UNIST),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로보틱스, 울산대를 비롯한 5개 기관과 '조선·해양산업 AI 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부와 기업, 학계가 손을 맞잡은 것은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AI 전환이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제 경쟁력을 가진 한국 조선·해양산업에 AI를 적용해 한 단계 도약을 이끌고, 산학 역량을 결집해 AI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5개 기관은 향후 조선·해양산업에 특화된 AI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과 산업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지역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걸쳐 광범위하게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선다. 조선·해양산업 현장에서 데이터 수집 과정의 불합리한 규제를 찾아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하고, 데이터를 피지컬 AI 구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배 부총리는 "현재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겪고 있는 국내 조선·해양산업에 이번 협약은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를 잡는 중요한 발판이 될 뿐만 아니라 조선·해양산업의 AI 대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미래 선박 건조 현장은 AI 기술 활용도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며 "이번 산학 기술 동맹이 HD현대의 AI 기술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는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호준 기자]
정부가 HD현대, 학계와 함께 국내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국의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조선·해양의 AI 전환을 위해 규제는 완화하고, 산업 특화 AI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정기선 HD현대 회장 등과 만나 이 같은 협력을 약속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부는 이날 울산과학기술원(UNIST),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로보틱스, 울산대를 비롯한 5개 기관과 '조선·해양산업 AI 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부와 기업, 학계가 손을 맞잡은 것은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AI 전환이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제 경쟁력을 가진 한국 조선·해양산업에 AI를 적용해 한 단계 도약을 이끌고, 산학 역량을 결집해 AI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5개 기관은 향후 조선·해양산업에 특화된 AI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과 산업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지역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걸쳐 광범위하게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선다. 조선·해양산업 현장에서 데이터 수집 과정의 불합리한 규제를 찾아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하고, 데이터를 피지컬 AI 구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배 부총리는 "현재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겪고 있는 국내 조선·해양산업에 이번 협약은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를 잡는 중요한 발판이 될 뿐만 아니라 조선·해양산업의 AI 대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미래 선박 건조 현장은 AI 기술 활용도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며 "이번 산학 기술 동맹이 HD현대의 AI 기술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는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호준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