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 유튜브를 통해 일상을 공유하고 있는 블랙핑크 지수. 구독자 845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지수 유튜브 갈무리] |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한 달 수입이 100만원도 안되는 유튜버들이 상당수인 가운데, 연소득 상위 0.1% 유튜버들은 연평균 50억원 가까운 소득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19억 2000만 원 대비 2.5배 가량 급증한 것이다.
특히 상위권 유튜버로의 소득 쏠림 현상도 뚜렷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20일 국세청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 상위 0.1%(24명)의 수입은 약 49억 3000만원이었다.
연소득 상위 0.1% 1인 미디어의 평균 수입은 △2020년 19억 2000만원 △2021년 29억 3000만원 △2022년 46억 3000만원 등 지속 증가했다. 연소득 상위 0.1%에 신고인원도 2020년 9명에서 2023년 24명으로 늘었다.
| 쯔양이 최근 한 방송에서 유튜브 수입을 밝히고 있다. [MBC 방송화면 갈무리] |
상위 1%의 소득도 2020년엔 8억 5000만원, 2021년엔 11억 4000만원에서 2023년 기준 13억 3000만원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1인 미디어 시장의 수입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2023년 전체 1인 미디어 창작자 총수입 1조 7778억 원 중 50.4%인 8963억 원을 상위 10%가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의 창작자가 시장 전체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 한 방송에서 월수입을 밝힌 유튜버 히밥 [MBN 제공] |
한편 상위 인기 유튜버와 달리 대부분이 월수입이 100만원도 안 된다. 대부분 수입이 최저 생계비도 안 돼 돈 벌려고 유튜버에 뛰어들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튜버 등 크리에이터 중 일정 규모 이상의 수익을 올린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지난해 9월~11월)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평균 수익이 1346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이 발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므로 실제 평균 수익은 이보다 훨씬 낮다.
유튜버를 포기하는 젊은 세대들도 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실태조사’에서도 30대 이하 유튜버의 비율은 64.9%로, 2022년 72.3%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에선 구독자 1000명과 지난 1년간 콘텐츠 시청 4000시간을 충족해야 창작자가 광고수익을 나눠 받을 수 있는다. 무려 45%를 수수료로 떼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