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하이오주 공장 매입해 리모델링…오픈AI 데이터센터에 설치할 장비
손정의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왼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월 3일(현지시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 'AI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 행사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권영전 특파원 =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장비 생산을 위해 최대 30억 달러(약 4조4천억원)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뱅크는 미국 오하이오주 로드스타운에 있는 전기차 공장을 제너럴모터스(GM)와 폭스콘으로부터 인수해 개조하는 데 3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소식통을 인용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8월 공장을 인수한 소프트뱅크는 이곳에서 생산한 장비를 텍사스주 밀럼 카운티에 있는 오픈AI 데이터센터와 아직 공개되지 않은 곳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부터 장비 생산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센터 장비는 모듈형으로 개발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장비를 모듈형으로 생산하면, 간단한 시험만을 거쳐 데이터센터 현장에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장비 간 연결이 쉬워져 데이터센터의 용량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데도 유리하다.
짐 시모넬리 슈나이더 일렉트릭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모듈형 방식은 현장 건설 방식과 견줘 데이터센터 가동 일정을 10∼20% 더 앞당겨준다고 디인포메이션에 말했다.
시모넬리 CTO는 "예를 들어 12개월이 걸리는 데이터센터 건설을 7∼8개월 만에 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 모듈식 건설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지난 9월 소프트뱅크·오라클과의 합작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일환으로 로드스타운과 텍사스주 밀럼 카운티에 각각 1.5GW(기가와트) 규모를 목표로 하는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데이터센터를 공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을 여러 차례 밝혔다.
지난 9월에는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2033년까지 250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한 사실이 전해지기도 했다.
이는 미국 전체 전력 소비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실제로 오픈AI는 엔비디아, AMD 등과 잇달아 수천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AI 서버용 칩을 조달하기로 했다. 브로드컴과 협력해 자체 서버 칩을 설계하고 있기도 하다.
아직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는 오픈AI가 어떻게 비용을 치를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올트먼 CEO는 "외부에 컴퓨팅 용량을 직접적으로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comma@yna.co.kr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권영전 특파원 =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장비 생산을 위해 최대 30억 달러(약 4조4천억원)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뱅크는 미국 오하이오주 로드스타운에 있는 전기차 공장을 제너럴모터스(GM)와 폭스콘으로부터 인수해 개조하는 데 3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소식통을 인용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8월 공장을 인수한 소프트뱅크는 이곳에서 생산한 장비를 텍사스주 밀럼 카운티에 있는 오픈AI 데이터센터와 아직 공개되지 않은 곳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부터 장비 생산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센터 장비는 모듈형으로 개발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장비를 모듈형으로 생산하면, 간단한 시험만을 거쳐 데이터센터 현장에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장비 간 연결이 쉬워져 데이터센터의 용량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데도 유리하다.
짐 시모넬리 슈나이더 일렉트릭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모듈형 방식은 현장 건설 방식과 견줘 데이터센터 가동 일정을 10∼20% 더 앞당겨준다고 디인포메이션에 말했다.
시모넬리 CTO는 "예를 들어 12개월이 걸리는 데이터센터 건설을 7∼8개월 만에 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 모듈식 건설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지난 9월 소프트뱅크·오라클과의 합작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일환으로 로드스타운과 텍사스주 밀럼 카운티에 각각 1.5GW(기가와트) 규모를 목표로 하는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데이터센터를 공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을 여러 차례 밝혔다.
지난 9월에는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2033년까지 250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한 사실이 전해지기도 했다.
이는 미국 전체 전력 소비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실제로 오픈AI는 엔비디아, AMD 등과 잇달아 수천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AI 서버용 칩을 조달하기로 했다. 브로드컴과 협력해 자체 서버 칩을 설계하고 있기도 하다.
아직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는 오픈AI가 어떻게 비용을 치를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올트먼 CEO는 "외부에 컴퓨팅 용량을 직접적으로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comma@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