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음성 인공지능(AI) 분야 '유니콘' 기업 일레븐랩스가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일레븐랩스 최고경영자(CEO)는 21일 서울 강남 JW매리어트에서 간담회를 열고 “일레븐랩스는 기술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세상의 지식과 이야기, 에이전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음성 AI 크리에이티브 기업”이라며 한국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날 간담회는 '일레븐랩스의 시작과 미래'를 주제로 열렸다. 일레븐랩스는 전통 더빙 방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음성 특화 언어모델과 솔루션을 지원한다. 국내 기업 중 네이버와 LG유플러스가 투자하며 유명해졌다. 크래프톤, 이스트소프트, MBC, SBS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현재 70개 이상 언어(더빙 기준 32개)와 7000개 이상 보이스를 지원하며 현재 세계 개발자와 크리에이터 등 5000만명 이상 월간 활성 사용자, 66억달러(약 9조7264억원)의 기업가치 평가액과 포춘 500대 기업 중 75%의 활성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일레븐랩스 기반모델은 음성합성(TTS), 오디오, 제어 가능성, 인간과 유사한 상호작용에 대한 최첨단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며 “TTS, 음성인식(STT), AI 더빙, 보이스 클로닝, 사운드 효과, 음성 분리, 일레븐 뮤직,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등 기술이 일레븐랩스의 독보적 제품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API 파운데이션으로 연구 성과를 지원하고 AI 기반 통합 협업형 크리에이티브 플랫폼인 크리에이티브 플랫폼이나 핵심 연구를 실시간 자연스러운 음성과 깊이 있는 추론·동적인 상호작용으로 구현해 AI 에이전트를 구동하는 플랫폼 등을 제공한다.
일레븐랩스 AI 에이전트 플랫폼은 거대언어모델(LLM) 추론 고도화 등으로 0.5초 미만의 지연 속도에 인간 목소리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경험을 제공한다. 고객관계관리(CRM), 고객지원, 결제, 전화 시스템 등 다양한 워크플로우를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전환율 향상과 매출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실시간 분석, 평가, 추적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주요 보안과 규제 기준을 준수해 엔터프라이즈급 보안과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 3000만명 이상 고객이 있는 한 대형 디지털은행은 일레븐랩스 AI 에이전트 플랫폼 도입으로 에이전트 처리시간을 85% 줄였다. 신용카드 관련 문의 50%를 AI가 처리하며 서비스 기획부터 전면 론칭까지 2개월 미만으로 단축했다.
일레븐랩스는 한국 시장 진출을 통해 K-콘텐츠의 원활한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어를 다양한 언어로 자동 번역해 더빙해준다. 또 500밀리초 이하 응답속도 초저지연 음성 에이전트가 24시간 다국어로 응대하고 AI가 반복 문의의 70%를 처리하며 상담사 등 사람은 진짜 공감과 창의성이 필요한 복잡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홍상원 일레븐랩스 한국지사장은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서비스 기준이 한국 시장을 최적 시장으로 만들고 있다”며 “한국에서 성공은 곧 글로벌 성공의 지표라는 점에서 일레븐랩스는 한국을 아시아 진출의 핵심 거점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