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몸을 움직이면 정신을 날카롭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신체활동은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키고, 신경 가소성(뇌가 경험·학습·환경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적응하고 변화하는 능력)을 강화하며 만성 염증을 줄인다. 이는 치매를 포함한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언제 운동을 해야 치매에 도움이 되는지, 유전적 위험 요인을 가진 사람에게도 운동의 보호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 했다.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된 프래밍엄 심장연구(Framingham Heart Study) 분석 결과는 이러한 의문에 답을 제시한다.
45세 이상 성인과 치매에 대한 특정 유전적 요인을 가진 사람이라도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면 치매 발병을 늦추거나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 개요
프래밍엄 심장연구는 1948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프래밍햄에서 30세 이상 성인 5000명 이상을 모집하여 심혈관 질환의 장기적인 위험 요인을 조사하면서 시작됐다.
1971년에는 2세대(원래 코호트의 성인 자녀 5000여명과 그 배우자)가 참여하여 자손 코호트를 구성했다. 2세대는 4~8년 마다 정기적인 건강 및 의료 평가를 받았다.
보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2세대 참가자들의 연령을 기준으로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성인 초기(26~44세): 1526명
중년기(45~64세): 1943명
노년기(65~88세): 885명
이어 자가보고 방식의 신체활동 지수를 기준으로 하위 20%부터 상위 20%까지 5개 그룹으로 나누어 14.5~37.2년간 추적조사했다.
추적 기간에 567명(13%)이 치매에 걸렸다. 대부분 고령층이었다.
●주요 결과
중년기 신체활동 상위 40% 그룹과 상위 20% 그룹은 하위 20% 그룹보다 치매 위험이 각각 40%, 41% 낮았다.
노년기 신체활동 상위 40%그룹과 상위 20% 그룹은 치매 위험이 각각 36%, 45% 감소했다.
흥미롭게도 성인 초기 신체활동은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위험 요인(APOE ε4)도 분석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유전적 위험 요인인 APOE ε4 대립유전자 보유 여부에 따른 차이였다.
중년기에는 신체활동이 증가하면 유전적 소인이 없는 사람들만 치매 위험이 감소했다.
하지만 노년기에는 유전적 소인이 있든 없든 신체활동이 증가하면 보호 효과가 나타났다.
즉, 유전적으로 치매에 걸리기 쉬운 사람도 노년에 활발히 움직이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한계와 시사점
이 연구는 신체활동을 대부분 자가 보고 해 활동량을 과장 혹은 과소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고, 어떤 유형의 운동이 가장 큰 이점을 제공하는 지도 알 수 없다. 참가자 대부분이 유럽계 백인이라 다른 인종에게 일반화하기 어렵고, 관찰연구라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연구는 ‘언제 운동을 해야 효과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중년·노년에도 늦지 않다”라는 명확한 근거를 제공한다.
관련 연구논문 주소: https://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5.4443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