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자사 폰 '픽셀 10'에서 퀵 쉐어-에어드롭 상호 운용 기능 구현
애플과 협의 없이 자체 개발했다고 밝혀…"철저한 보안 체계 확보"
생태계 개방 시도 차단해온 애플…경쟁사 구글의 기습 시도 수용할까
구글의 근거리 파일 전송 기능 '퀵 쉐어(Quick Share)'. (사진=안드로이드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삼성 갤럭시 폰에 담긴 사진파일을 무선으로 애플 아이폰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구글은 자사의 파일 전송 기능인 '퀵 쉐어(Quick Share)'를 애플의 근거리 파일공유서비스 '에어드롭(AirDrop)'과 연동할 수 있도록 했다고 깜짝 발표했다.
폐쇄적인 생태계를 고수해 온 애플을 사실상 강제 협력 테이블로 끌어낸 구글의 과감한 시도로 풀이된다. 구글의 독자적인 행보에 애플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이목이 쏠린다.
맥루머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자사의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특히 픽셀 10 시리즈에서 사용되는 퀵 쉐어 기능이 애플 에어드롭과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사용자 간에도 기기 자체 기능만을 이용해 빠르고 안전한 파일 공유가 가능해질 길이 열렸다.
퀵 쉐어와 에어드롭 같은 근거리 무선 파일 공유 기능은 대부분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결합해 작동한다. 블루투스를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연결을 설정한 뒤, 실제 파일 전송 시에는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로 전환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인터넷 연결 없이도 기기 간에 대용량 파일을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글의 퀵 쉐어는 삼성 갤럭시 기기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기반 장치에서 파일 공유를 지원하는 기능이다. 구글은 지난해 삼성의 '니어바이 쉐어'와 자사의 퀵 쉐어를 통합해 퀵 쉐어 명칭을 통일하고, 삼성 갤럭시와 구글 픽셀을 비롯한 모든 안드로이드 기기에 적용해왔다.
지금까지 퀵 쉐어는 안드로이드 기기 사이에서만 작동하고 아이폰과의 연동은 불가능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아이폰 사용자들과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별도의 서드파티 앱을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이 기능을 현재 픽셀 10 기기에 한정해 출시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곧 삼성전자 기기를 포함한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에도 지원을 확대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애플의 근거리 파일 전송 기능 '에어드롭(AirDrop).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구글이 이 기능을 애플과의 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이다. 구글은 IT 전문 매체 안드로이드 오소리티에 제공한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 기능을 자체적인 구현을 통해 완성했다. 내부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팀의 철저한 검토는 물론, 외부 보안 회사에 모의 해킹 테스트까지 맡겨 보안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RCS 메시지나 미확인 추적기 식별 및 경고 기능 등 이전에 애플과 구글이 크로스 플랫폼 기능 개발에 협력했던 선례와는 대조되는 행보다. 구글은 애플이 이번 협력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공개 발표를 통해 사실상 애플에게 연동을 요구하는 강수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구글은 이 기능 구현에 러스트(Rust)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퀵 쉐어와 에어드롭 간의 호환성 레이어를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안을 핵심으로 구축했으며, 독립 전문가의 검증까지 마쳤다고 강조하며 애플이 호환성을 막을 명분을 최소화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애플의 반응이다. 애플은 역사적으로 서드파티의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 해결책에 호의적이지 않았고, 되려 이를 차단하려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3년 '비퍼(Beeper)' 사태다. 당시 비퍼는 애플의 아이메시지 프로토콜을 역설계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아이폰 사용자에게 초록색이 아닌 '파란색' 말풍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했으나, 애플은 이를 차단했다. 구글의 이번 시도가 비퍼와 유사한 역설계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애플이 또다시 차단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구글은 비퍼보다 훨씬 거대한 빅테크 기업이고, 구글이 이미 기능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출시한 만큼 애플이 일방적으로 이 기능을 막아서는 것에 대한 부담이 훨씬 클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 애플이 유럽연합(EU)의 '디지털 시장법(DMA)'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더 강한 규제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 역시 변수다.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는 구글의 기능을 차단하는 행위는 독점적인 지위를 이용한 경쟁 제한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했을 때 애플이 크로스 플랫폼 파일 공유 기능을 막지 않고 사실상 수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까지 애플은 구글의 발표에 대해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내놓지 않은 상태다. 구글이 다소 기습적으로 애플의 생태계 개방 시도에 나선 만큼 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구글과의 상호 운용성을 수용할지, 애플 특유의 폐쇄적 생태계 보호를 위해 차단에 나설지 주목된다.
애플과 협의 없이 자체 개발했다고 밝혀…"철저한 보안 체계 확보"
생태계 개방 시도 차단해온 애플…경쟁사 구글의 기습 시도 수용할까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삼성 갤럭시 폰에 담긴 사진파일을 무선으로 애플 아이폰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구글은 자사의 파일 전송 기능인 '퀵 쉐어(Quick Share)'를 애플의 근거리 파일공유서비스 '에어드롭(AirDrop)'과 연동할 수 있도록 했다고 깜짝 발표했다.
폐쇄적인 생태계를 고수해 온 애플을 사실상 강제 협력 테이블로 끌어낸 구글의 과감한 시도로 풀이된다. 구글의 독자적인 행보에 애플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이목이 쏠린다.
구글, 퀵 쉐어-에어드롭 호환 깜짝 발표…향후 삼성 갤럭시 등까지 확장 주목
맥루머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자사의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특히 픽셀 10 시리즈에서 사용되는 퀵 쉐어 기능이 애플 에어드롭과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사용자 간에도 기기 자체 기능만을 이용해 빠르고 안전한 파일 공유가 가능해질 길이 열렸다.
퀵 쉐어와 에어드롭 같은 근거리 무선 파일 공유 기능은 대부분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결합해 작동한다. 블루투스를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연결을 설정한 뒤, 실제 파일 전송 시에는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로 전환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인터넷 연결 없이도 기기 간에 대용량 파일을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글의 퀵 쉐어는 삼성 갤럭시 기기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기반 장치에서 파일 공유를 지원하는 기능이다. 구글은 지난해 삼성의 '니어바이 쉐어'와 자사의 퀵 쉐어를 통합해 퀵 쉐어 명칭을 통일하고, 삼성 갤럭시와 구글 픽셀을 비롯한 모든 안드로이드 기기에 적용해왔다.
지금까지 퀵 쉐어는 안드로이드 기기 사이에서만 작동하고 아이폰과의 연동은 불가능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아이폰 사용자들과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별도의 서드파티 앱을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이 기능을 현재 픽셀 10 기기에 한정해 출시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곧 삼성전자 기기를 포함한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에도 지원을 확대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애플과 협의 없는 구글의 독자 시도…플랫폼 개방 부정적인 애플이 받아들일까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구글이 이 기능을 애플과의 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이다. 구글은 IT 전문 매체 안드로이드 오소리티에 제공한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 기능을 자체적인 구현을 통해 완성했다. 내부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팀의 철저한 검토는 물론, 외부 보안 회사에 모의 해킹 테스트까지 맡겨 보안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RCS 메시지나 미확인 추적기 식별 및 경고 기능 등 이전에 애플과 구글이 크로스 플랫폼 기능 개발에 협력했던 선례와는 대조되는 행보다. 구글은 애플이 이번 협력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공개 발표를 통해 사실상 애플에게 연동을 요구하는 강수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구글은 이 기능 구현에 러스트(Rust)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퀵 쉐어와 에어드롭 간의 호환성 레이어를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안을 핵심으로 구축했으며, 독립 전문가의 검증까지 마쳤다고 강조하며 애플이 호환성을 막을 명분을 최소화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애플의 반응이다. 애플은 역사적으로 서드파티의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 해결책에 호의적이지 않았고, 되려 이를 차단하려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3년 '비퍼(Beeper)' 사태다. 당시 비퍼는 애플의 아이메시지 프로토콜을 역설계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아이폰 사용자에게 초록색이 아닌 '파란색' 말풍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했으나, 애플은 이를 차단했다. 구글의 이번 시도가 비퍼와 유사한 역설계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애플이 또다시 차단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구글은 비퍼보다 훨씬 거대한 빅테크 기업이고, 구글이 이미 기능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출시한 만큼 애플이 일방적으로 이 기능을 막아서는 것에 대한 부담이 훨씬 클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 애플이 유럽연합(EU)의 '디지털 시장법(DMA)'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더 강한 규제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 역시 변수다.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는 구글의 기능을 차단하는 행위는 독점적인 지위를 이용한 경쟁 제한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했을 때 애플이 크로스 플랫폼 파일 공유 기능을 막지 않고 사실상 수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까지 애플은 구글의 발표에 대해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내놓지 않은 상태다. 구글이 다소 기습적으로 애플의 생태계 개방 시도에 나선 만큼 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구글과의 상호 운용성을 수용할지, 애플 특유의 폐쇄적 생태계 보호를 위해 차단에 나설지 주목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