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5683025_001_20251122092911919.jpg?type=w800

순다 피차이 구글 CEO "AI 투자 위험 부족 커"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에 맞추기 위해 관련 서비스 용량을 반년마다 2배로 늘려야 한다는 목표를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1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의 보도에 따르면 가아민 바흐다트 구글 클라우드 부사장은 지난 6일 전사 회의에서 발표한 'AI 인프라' 보고서를 통해 "이제 우리는 6개월마다 (컴퓨팅 용량을) 두 배로 늘려야 한다"며 "향후 4~5년 뒤에는 1000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바흐다트 부사장은 CNBC가 입수한 보고서에서 "기본적으로 같은 비용으로, 동일한 전력·에너지로 1000배 높은 용량과 컴퓨팅,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쉽지는 않겠지만 협업과 공동 설계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데이터센터 등 물리적 인프라의 확충 외에도 자체 개발 AI 칩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도 AI 처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출 확대가 더 안정적이고 뛰어나며 확장할 수 있는 인프라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회의에 참석한 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AI 거품' 논란을 언급하며 과잉 투자를 우려한 한 직원의 질문에 대해 "이런 시기에는 투자 부족의 위험이 매우 크다"고 답했다.

피차이 CEO는 "클라우드 실적이 놀라울 정도로 좋았지만, 컴퓨팅 자원이 더 많았다면 수치가 더 높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우리는 다른 기업들보다 실수를 견딜 수 있는 위치에 있다"라고도 강조했다.

다만 그는 내년 AI 시장에 대해서는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며 "분명히 기복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구글은 최근 여러 벤치마크에서 최고 점수를 기록한 새 AI 모델 '제미나이3'를 공개했다. 이어 이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생성·편집 도구 '나노 바나나 프로'도 내놨다.

구글은 데이터센터 확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한편 텐서처리장치(TPU)라고 부르는 자체 AI 칩 '아이언우드'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