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전송 ‘퀵 셰어’ 기능, 애플 에어드롭과 호환
신형폰 ‘픽셀 10’부터…“향후 지원기종 늘릴것”
구글의 최신 스마트폰 모델 픽셀 10 프로의 모습. 구글은 픽셀 10 라인업에서 ‘퀵 셰어’를 애플 ‘에어드롭’과 연동하는 기술을 공개해 사진·영상·파일을 OS와 상관없이 주고받을 길을 열었다. 구글 제공구글과 애플 사이에 두텁게 쌓였던 ‘공유 장벽’이 무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글이 신형 스마트폰 ‘픽셀 10’을 공개하며 자사의 파일 전송 기능 ‘퀵 셰어’를 애플의 ‘에어드롭’과 호환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에어드롭은 애플 생태계에서만 작동해 오랫동안 사용자 불편의 대표 사례로 꼽혀 왔다.
2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구글은 전날 새로운 ‘픽셀 10’ 시리즈를 발표하며 최신 기기에서 애플 에어드롭을 활용할 수 있는 자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픽셀 10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향후 지원 기종을 늘릴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퀵셰어를 활용해 아이폰에 파일을 전송하는 모습. 현재 안드로이드-iOS 간 파일 전송 기능은 픽셀10 모델에서만 지원된다. 구글 제공
애플의 에어드롭은 빠른 전송 속도와 높은 안정성을 무기로 애플 OS 사용자의 필수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구글은 이를 벤치마킹해 안드로이드 기기 간 파일을 주고받는 퀵 셰어를 서비스해 왔지만, 두 기능 사이에는 직접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벽’이 존재해 왔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애플에 에어드롭을 외부 기기에도 개방하라고 권고했지만, 애플은 보안·프라이버시 우려를 이유로 거부해 왔다.
● 구글 “공유는 ‘그냥 되는’ 경험이어야”…애플 독점 구조 정면 비판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의 모습. AP/뉴시스구글 대변인은 “가족과 친구들끼리 소중한 순간을 공유하는 데 어떤 기기를 쓰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공유는 그저 ‘그냥 된다(just work)’는 느낌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애플 중심의 폐쇄 생태계를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이어 “이번 업데이트는 소비자 편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수 조치”라며 “RCS가 메시지 규격으로 표준화돼 시장을 바꾼 것처럼 에어드롭·퀵 셰어 연동도 기본 기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애플 역시 한동안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 도입을 거부하다 규제 압박에 밀려 지난해부터 지원을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애플 독점 기능이 외부와 연결될 경우 보안 취약점이 생길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구글 대변인은 “이번 기능은 구글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구현했다”며 “내부 보안팀의 철저한 검토를 거쳤고 외부 업체의 검증도 마쳤다”고 강조했다.
구글에서 보안·프라이버시를 총괄하는 데이브 클라이더마허 부사장은 “이 기능은 편법(workaround)을 쓰지 않는다”며 “단말기 간 직접 연결(P2P) 방식으로 작동해 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되는 일은 없고 그만큼 기록이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에 위치한 애플 파크에서 2025년 9월경 열린 신제품 발표회. 참석자들이 신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AP/뉴시스
● 애플의 대응은? “과거 사례 보면 쉽지 않을 것”
전문가들은 애플이 폐쇄 생태계를 기반으로 기기 충성도를 유지해 온 만큼, 구글의 움직임에 미온적이거나 강경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2023년경 메시지 앱 ‘비퍼(Beeper)’는 안드로이드에서 애플의 메시지 서비스 ‘아이메시지(iMessage)’를 쓸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내놨다가 애플의 차단 조치에 부딪혔다. 현재는 사업을 접은 스마트폰 제조사 팜(Palm) 역시 자사 기기와 애플 음악 관리 프로그램 ‘아이튠즈(iTunes)’를 동기화하려다 제동이 걸린 전례가 있다.
현재까지 애플은 구글의 발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애플이 즉각 대응하기보다는 규제 환경, 소비자 반응, 기술적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신형폰 ‘픽셀 10’부터…“향후 지원기종 늘릴것”
2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구글은 전날 새로운 ‘픽셀 10’ 시리즈를 발표하며 최신 기기에서 애플 에어드롭을 활용할 수 있는 자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픽셀 10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향후 지원 기종을 늘릴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애플의 에어드롭은 빠른 전송 속도와 높은 안정성을 무기로 애플 OS 사용자의 필수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구글은 이를 벤치마킹해 안드로이드 기기 간 파일을 주고받는 퀵 셰어를 서비스해 왔지만, 두 기능 사이에는 직접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벽’이 존재해 왔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애플에 에어드롭을 외부 기기에도 개방하라고 권고했지만, 애플은 보안·프라이버시 우려를 이유로 거부해 왔다.
● 구글 “공유는 ‘그냥 되는’ 경험이어야”…애플 독점 구조 정면 비판
이어 “이번 업데이트는 소비자 편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수 조치”라며 “RCS가 메시지 규격으로 표준화돼 시장을 바꾼 것처럼 에어드롭·퀵 셰어 연동도 기본 기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애플 역시 한동안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 도입을 거부하다 규제 압박에 밀려 지난해부터 지원을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애플 독점 기능이 외부와 연결될 경우 보안 취약점이 생길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구글 대변인은 “이번 기능은 구글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구현했다”며 “내부 보안팀의 철저한 검토를 거쳤고 외부 업체의 검증도 마쳤다”고 강조했다.
구글에서 보안·프라이버시를 총괄하는 데이브 클라이더마허 부사장은 “이 기능은 편법(workaround)을 쓰지 않는다”며 “단말기 간 직접 연결(P2P) 방식으로 작동해 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되는 일은 없고 그만큼 기록이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애플의 대응은? “과거 사례 보면 쉽지 않을 것”
전문가들은 애플이 폐쇄 생태계를 기반으로 기기 충성도를 유지해 온 만큼, 구글의 움직임에 미온적이거나 강경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2023년경 메시지 앱 ‘비퍼(Beeper)’는 안드로이드에서 애플의 메시지 서비스 ‘아이메시지(iMessage)’를 쓸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내놨다가 애플의 차단 조치에 부딪혔다. 현재는 사업을 접은 스마트폰 제조사 팜(Palm) 역시 자사 기기와 애플 음악 관리 프로그램 ‘아이튠즈(iTunes)’를 동기화하려다 제동이 걸린 전례가 있다.
현재까지 애플은 구글의 발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애플이 즉각 대응하기보다는 규제 환경, 소비자 반응, 기술적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