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소 시스템과 나의건강기록 앱 연계…본인동의 후 열람
"상담·진료 당시 보여지기만 할 뿐 유출 걱정 안 해도 돼"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오는 24일부터 보건소 등의 업무시스템인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와 애플리케이션(앱) '나의건강기록'이 연계된다고 23일 밝혔다.(사진은 시스템 구성도.)(보건복지부 제공)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앞으로 재검사·재진단 없이 민간 병·의원의 검사·진료이력 등을 보건소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고령층 등 보건소 이용자로서 시간도, 돈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오는 24일부터 보건소 등의 업무시스템인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와 애플리케이션(앱) '나의건강기록'이 연계된다고 23일 밝혔다.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은 전국 3600여개 지역보건의료기관(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의 진료·예방접종 및 검진과 제·증명발급, 건강관리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하루 평균 6만 4000명이 이용 중인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업무시스템이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개인의 투약·진료·건강검진·예방접종 이력과, 진단·약물처방·검사정보 등을 본인 동의하에 손쉽게 조회하고 원하는 데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이다.
보건소 진료·검진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전 진료, 투약, 진단이력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지금까지 이런 정보 확인은 민원인 기억에 의존해 구두로 확인하거나 별도의 종이진단서를 제출받았고 이마저 어렵다면 다시 검사할 수 밖에 없었다.
예컨대 혼자 사는 당뇨병 환자 A 씨(70)는 보건소에서 영샹상담을 해준다는 정보를 듣고 방문하게 됐다.
이에 따라 영양사가 상담을 위해 병원은 언제 갔는지, 최근 허리둘레와 당뇨 수치는 얼마인지, 어떤 약을 먹는지 물어봤지만, A 씨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아 난감해했다.
만약 자신의 스마트폰에 '나의건강기록 앱'을 깔고 정보사용에 동의하면 영양사 PC에 본인 건강정보를 바로 알 수 있다.
정확한 정보 덕에 자신에게 맞는 영양상담을 빨리 전문적으로 받을 수 있어 만족스럽고, 잊고 있었던 건강검진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복지부 등은 민간 병·의원에서 이뤄진 진단·투약·검진정보 등을 민원인이 동의할 경우 전국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진료·건강관리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연계체계를 마련했다.
민원인이 스마트폰에서 나의건강기록 앱을 설치한 후, 공유하고자 하는 날짜의 건강정보를 선택해 이용 중인 지역보건의료기관에 전송하면 이 기관에서 정보를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보건소 직원이 열람하게 되는 건강정보는 보이기만 할 뿐 보건소 시스템에 따로 저장되지 않는다.
이 또한 30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돼 건강정보의 유출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복지부는 강조했다.
보건소를 이용할 때 기존의 나의 건강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전문성과 신속성을 확보함은 물론, 불필요한 재검사, 재처방 과정 등을 줄여 시간도 돈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곽순헌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고령층 등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국민께서 보다 더 정확하고, 편리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현준 사회보장정보원장은 "의료취약지의 보건진료소에서도 건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주민들이 진료·검진·접종 시기 등을 놓치지 않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염민섭 보건의료정보원장은 "민간 의료기관과 공공보건기관 간 건강정보 단절을 해소하게 됐다"면서 "국민이 체감할 실질적 의료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상담·진료 당시 보여지기만 할 뿐 유출 걱정 안 해도 돼"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앞으로 재검사·재진단 없이 민간 병·의원의 검사·진료이력 등을 보건소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고령층 등 보건소 이용자로서 시간도, 돈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오는 24일부터 보건소 등의 업무시스템인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와 애플리케이션(앱) '나의건강기록'이 연계된다고 23일 밝혔다.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은 전국 3600여개 지역보건의료기관(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의 진료·예방접종 및 검진과 제·증명발급, 건강관리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하루 평균 6만 4000명이 이용 중인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업무시스템이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개인의 투약·진료·건강검진·예방접종 이력과, 진단·약물처방·검사정보 등을 본인 동의하에 손쉽게 조회하고 원하는 데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이다.
보건소 진료·검진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전 진료, 투약, 진단이력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지금까지 이런 정보 확인은 민원인 기억에 의존해 구두로 확인하거나 별도의 종이진단서를 제출받았고 이마저 어렵다면 다시 검사할 수 밖에 없었다.
예컨대 혼자 사는 당뇨병 환자 A 씨(70)는 보건소에서 영샹상담을 해준다는 정보를 듣고 방문하게 됐다.
이에 따라 영양사가 상담을 위해 병원은 언제 갔는지, 최근 허리둘레와 당뇨 수치는 얼마인지, 어떤 약을 먹는지 물어봤지만, A 씨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아 난감해했다.
만약 자신의 스마트폰에 '나의건강기록 앱'을 깔고 정보사용에 동의하면 영양사 PC에 본인 건강정보를 바로 알 수 있다.
정확한 정보 덕에 자신에게 맞는 영양상담을 빨리 전문적으로 받을 수 있어 만족스럽고, 잊고 있었던 건강검진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복지부 등은 민간 병·의원에서 이뤄진 진단·투약·검진정보 등을 민원인이 동의할 경우 전국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진료·건강관리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연계체계를 마련했다.
민원인이 스마트폰에서 나의건강기록 앱을 설치한 후, 공유하고자 하는 날짜의 건강정보를 선택해 이용 중인 지역보건의료기관에 전송하면 이 기관에서 정보를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보건소 직원이 열람하게 되는 건강정보는 보이기만 할 뿐 보건소 시스템에 따로 저장되지 않는다.
이 또한 30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돼 건강정보의 유출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복지부는 강조했다.
보건소를 이용할 때 기존의 나의 건강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전문성과 신속성을 확보함은 물론, 불필요한 재검사, 재처방 과정 등을 줄여 시간도 돈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곽순헌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고령층 등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국민께서 보다 더 정확하고, 편리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현준 사회보장정보원장은 "의료취약지의 보건진료소에서도 건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주민들이 진료·검진·접종 시기 등을 놓치지 않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염민섭 보건의료정보원장은 "민간 의료기관과 공공보건기관 간 건강정보 단절을 해소하게 됐다"면서 "국민이 체감할 실질적 의료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