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95101_001_20251123180416158.jpg?type=w800

숙련자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강조
피지컬 AI 데이터 표준화 추진
맞춤 데이터 플랫폼 개발 계획도
김우승 크라우드웍스 대표가 디지털타임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크라우드웍스 제공

심각한 저출산과 급속한 고령화로 가까운 공장 근무자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피지컬 인공지능(AI)이 대안이 될 거란 제언이 나왔다.

한국피지컬AI협회 데이터 분과장인 김우승(사진) 크라우드웍스 대표는 23일 디지털타임스와 만나 “‘제조 공정에 맞춤 로봇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산업 현장에 확산되고 있다”며 “국내 저출산·고령화 가속화로 피지컬 AI 기술력이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크라우드웍스는 AI 데이터 전문 기업이다.

최근 제조업 현장에선 숙련된 인력들이 고령으로 점차 은퇴하면서 효율성 유지 방안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김 대표는 “은퇴를 앞둔 숙련자의 지식뿐 아니라 육체적인 정보들을 모델화해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이나 자동화 기기를 만드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 로봇 형태와 달리 인간형 로봇은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적응하고 주어진 일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해 활용도가 높다”고 했다.

그는 피지컬 AI 시대가 다가오면서 한국은 여러 제조업 가운데서도 반도체 경쟁력을 특히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피지컬 AI 시대에 로봇 및 자율주행차 등 디바이스에 탑재할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신경처리망장치(NPU) 필요성이 커지며 (이들과 함께 탑재될) 한국 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이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피지컬AI협회 데이터 분과장으로서 로봇 기업들과 협업해 ‘피지컬 AI 데이터 파이프라인’ 전략을 짜고 있다. 제조업 현장에서 나온 데이터를 로봇 기업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피지컬 AI 분야의 데이터 표준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법적 문제 없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이와 함께 김 대표는 “시각·언어·행동(VLA) 기술 기반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드는 데 필요한 데이터 구축이나 학습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 관련 고도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엔비디아의 피지컬 AI 플랫폼 코스모스(Cosmos) 및 로봇 개발 플랫폼 아이작심(Isaac Sim) 기반의 전문 모델링 기업, 컨설팅 기업, 디지털트윈에 경험이 풍부한 기술 기업과 초기 단계부터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회사가 축적한 고품질 데이터 구축 경험과 전문 인력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도 밝혔다.

그는 “제조 현장의 다양한 작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것”이라며 “자동차 자율주행 분야를 우선해 조선업, 용접 로봇 등에 필요한 데이터 플랫폼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의 AI 모델 개발 중심으로 전환되는 만큼, 전문 제조 및 로봇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단계적으로 기술개념검증(PoC)을 추진하며 실제 수요 기업들과 협력해 실증 중심의 프로젝트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