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Y, 재무·SW '겸장' 박학규 중용
사업지원실 중심 '뉴삼성' 짤 듯
정의선은 모빌리티 외부발탁 유력
SK는 대폭교체… LG '부회장' 누가
이재용(왼쪽부터)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각 사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은 '2인자'로 꼽혔던 정현호 부회장이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맡았던 삼성 컨트롤타워의 핵심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재계 전반에 '인사태풍'이 몰아칠 기세다.
SK그룹은 이미 예년보다 한 달여 빠르게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으며, 조만간 있을 임원 승진 인사에서도 대대적인 세대교체를 위한 밑그림을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그룹도 이르면 이달 중순 이후 사장단 인사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연말 재계 인사의 키워드는 단연 인공지능(AI)이다. 주요 재계 총수들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이자 글로벌 경제 패권다툼의 핵심인 AI를 주력 사업으로 키우기 위한 다각도의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르면 이달 말 사장단 인사와 함께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사업지원TF를 사업지원실로 정식 개편하고, 박학규 사장을 사업지원실장에 위촉하는 깜짝 인사를 단행했다. TF장을 맡았던 정 부회장은 이재용 회장 보좌역으로 자리를 옮기며 사실상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정 부회장의 바통을 이어 받은 박학규 사장은 반도체 등 제품부터 서비스, 조직관리 등 사업 전반에서 AI를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박 사장은 재무통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소프트웨어(SW)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문과생이 갈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였던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경영과학과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이후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장을 역임한 이재규 교수의 지도를 받아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대화형 시스템' 설계·구축에 대한 연구를 하기도 했다.
삼성이 이번 인사로 조직 컨트롤타워를 정식 조직으로 승격시킨 만큼, 재계에서는 연말 정기 사장단 인사에서 이재용의 '뉴 삼성' 본격화를 위한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이뤄질 지 주목하고 있다.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 해소 후 첫 인사라는 점, 그리고 이 회장의 경영 공백을 사실상 메워 온 정 부회장의 용퇴가 맞물렸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삼성전자와 달리 금융·EPC 부문이 아직까지 임시조직 격인 TF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다. 이 밖에도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직무대행' 직함을 뗄 가능성, 그리고 현재 노 사장이 겸직 중인 MX사업부장에 대한 신규 인사가 이뤄질 지 등도 주목된다.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작년 5월 구원투수로 등장한 전영현 부회장의 유임 여부와 함께, 전 부회장이 겸임하는 메모리사업부장에 새 인사를 중용할지도 관심거리다. 작년말 인사에서는 전 부회장이 메모리사업부장을 겸하기로 하고, 파운드리사업부는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직을 신설하는 '수주-기술'의 투 트랙 전략을 짰고, 현재 성과를 내고 있는 만큼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그룹도 이달 중 사장단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작년 말 인사에서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의 승진과 호세 무뇨스 사장이 외국인 첫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되는 굵직한 인사가 단행된 만큼, 이번에는 로보택시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를 이끌 차세대 리더 중용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의선 회장이 AI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외부 인재 영입에 적극적이었던 만큼, 파격적인 새얼굴이 등장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LG그룹은 조주완 LG전자 대표,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등의 거취에 이목이 쏠린다. 조 사장은 성공적인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정 대표는 4년 만의 흑자 전환 등의 성과를 낸 만큼 부회장 승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SK그룹의 경우 예년보다 한 달 여 빠른 지난달 말에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내년 사업의 방향성을 정하는 CEO세미나가 지난 8일 끝난 가운데, 새 경영진이 이 행사에 참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SK는 이번 사장단 인사에서 통신·IT 부문 수장을 대거 교체하고, 현장 실무 경험이 풍부한 리더들과 연구개발(R&D) 중심의 인재를 전면에 배치해 최태원 회장이 강조해 온 AI 역량 강화와 함께 운영개선(OI)에 초점을 맞췄다.
그룹 내 최고 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는 이형희 커뮤니케이션위원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고, SK㈜는 재무·사업개발 전문가인 강동수 PM부문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장용호 대표를 보좌한다. 최근 복합악재에 시달렸던 SK텔레콤은 정재헌 최고거버넌스책임자(CGO)가 사장을 맡고,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SK수펙스추구협의회 AI위원회 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사업지원실 중심 '뉴삼성' 짤 듯
정의선은 모빌리티 외부발탁 유력
SK는 대폭교체… LG '부회장' 누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은 '2인자'로 꼽혔던 정현호 부회장이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맡았던 삼성 컨트롤타워의 핵심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재계 전반에 '인사태풍'이 몰아칠 기세다.
SK그룹은 이미 예년보다 한 달여 빠르게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으며, 조만간 있을 임원 승진 인사에서도 대대적인 세대교체를 위한 밑그림을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그룹도 이르면 이달 중순 이후 사장단 인사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연말 재계 인사의 키워드는 단연 인공지능(AI)이다. 주요 재계 총수들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이자 글로벌 경제 패권다툼의 핵심인 AI를 주력 사업으로 키우기 위한 다각도의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르면 이달 말 사장단 인사와 함께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사업지원TF를 사업지원실로 정식 개편하고, 박학규 사장을 사업지원실장에 위촉하는 깜짝 인사를 단행했다. TF장을 맡았던 정 부회장은 이재용 회장 보좌역으로 자리를 옮기며 사실상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정 부회장의 바통을 이어 받은 박학규 사장은 반도체 등 제품부터 서비스, 조직관리 등 사업 전반에서 AI를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박 사장은 재무통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소프트웨어(SW)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문과생이 갈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였던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경영과학과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이후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장을 역임한 이재규 교수의 지도를 받아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대화형 시스템' 설계·구축에 대한 연구를 하기도 했다.
삼성이 이번 인사로 조직 컨트롤타워를 정식 조직으로 승격시킨 만큼, 재계에서는 연말 정기 사장단 인사에서 이재용의 '뉴 삼성' 본격화를 위한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이뤄질 지 주목하고 있다.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 해소 후 첫 인사라는 점, 그리고 이 회장의 경영 공백을 사실상 메워 온 정 부회장의 용퇴가 맞물렸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삼성전자와 달리 금융·EPC 부문이 아직까지 임시조직 격인 TF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다. 이 밖에도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직무대행' 직함을 뗄 가능성, 그리고 현재 노 사장이 겸직 중인 MX사업부장에 대한 신규 인사가 이뤄질 지 등도 주목된다.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작년 5월 구원투수로 등장한 전영현 부회장의 유임 여부와 함께, 전 부회장이 겸임하는 메모리사업부장에 새 인사를 중용할지도 관심거리다. 작년말 인사에서는 전 부회장이 메모리사업부장을 겸하기로 하고, 파운드리사업부는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직을 신설하는 '수주-기술'의 투 트랙 전략을 짰고, 현재 성과를 내고 있는 만큼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그룹도 이달 중 사장단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작년 말 인사에서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의 승진과 호세 무뇨스 사장이 외국인 첫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되는 굵직한 인사가 단행된 만큼, 이번에는 로보택시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를 이끌 차세대 리더 중용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의선 회장이 AI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외부 인재 영입에 적극적이었던 만큼, 파격적인 새얼굴이 등장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LG그룹은 조주완 LG전자 대표,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등의 거취에 이목이 쏠린다. 조 사장은 성공적인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정 대표는 4년 만의 흑자 전환 등의 성과를 낸 만큼 부회장 승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SK그룹의 경우 예년보다 한 달 여 빠른 지난달 말에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내년 사업의 방향성을 정하는 CEO세미나가 지난 8일 끝난 가운데, 새 경영진이 이 행사에 참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SK는 이번 사장단 인사에서 통신·IT 부문 수장을 대거 교체하고, 현장 실무 경험이 풍부한 리더들과 연구개발(R&D) 중심의 인재를 전면에 배치해 최태원 회장이 강조해 온 AI 역량 강화와 함께 운영개선(OI)에 초점을 맞췄다.
그룹 내 최고 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는 이형희 커뮤니케이션위원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고, SK㈜는 재무·사업개발 전문가인 강동수 PM부문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장용호 대표를 보좌한다. 최근 복합악재에 시달렸던 SK텔레콤은 정재헌 최고거버넌스책임자(CGO)가 사장을 맡고,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SK수펙스추구협의회 AI위원회 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