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 담긴 폴더, 접근 제한 없이 방치
노조가 발견, 사측 "개인정보 유출 아냐"
'NJ 리스트'에는 집행부 근무시간 기록도
인천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 전 직원의 연봉과 고과 등 개인정보가 담긴 공용 폴더가 한때 접근 제한 없이 노출됐다며 노동조합이 회사를 당국에 신고했다. 이 폴더에 노동조합 집행부의 출퇴근 기록도 담겨 있다는 이유로 노조는 사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삼성그룹 초기업 노동조합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가 9일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에 제출한 신고서에 따르면, 노조 집행부는 지난 6일 업무용 공용 폴더 내에 전 직원의 인사 정보가 노출돼 있는 정황을 발견했다. 아무런 권한이 없어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이라면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상태였다. 이 폴더에는 전체 직원의 주민등록번호, 학력, 연봉, 고과, 집 주소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었다고 한다.
노조가 사측에 이 사실을 알리면서 폴더 접근은 차단됐다. 하지만 얼마나 오랫동안 폴더가 공개돼 있었는지, 몇 번이나 열람됐는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노조 관계자는 "원래는 액세스(접근) 권한이 있는 폴더였다"며 "서버 이관 작업이 있었고, 이관이 잘됐는지 확인하던 중 관련 자료를 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노조는 노출 경위와 범위에 대한 조사, 재발방지 대책 논의를 사측에 요청했지만, 사측이 응하지 않았다고 했다. 사측은 대신 이날 노조 측에 "개인정보 유출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노조는 이미 내려받은 자료를 볼 수 없도록 사측이 7일 노조 집행부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원격으로 차단하고, 물리적으로 컴퓨터 회수를 시도했다고도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회사의 경영 비밀, 인사 정보를 노조가 무단으로 다운로드하고 열람했다'며 적반하장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노조는 해당 폴더에서 발견한 파일을 근거로 '노조 사찰'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엑셀 파일에는 'NJ(노조) 리스트'가 들어 있었는데, 박재성 지부장을 비롯해 조직국장, 사무국장의 사업장 출입 기록과 허위입력 근무시간이 정리돼 있었다는 것이다. "휘트니스 이용 시간 축소" "1시간 이상 사외 체류시간 휴게시간 미반영" 같은 문구도 적혀 있었다고 했다. 박 지부장은 "노조 집행부를 NJ로 표현하고 카페 이용 시간을 꼬투리 잡아 월급을 회입하려 한 시도"라고 주장했다.
삼성그룹 초기업 노동조합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가 확보한 직원 개인정보 파일에 '소송' 여부가 표시돼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조 제공
또 직원 명단에는 통상임금 소송 여부가 표시돼 있기도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1,279명은 지난해 과거 명절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 소송에 참여했는지를 구분해 놓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통상임금 소송 여부를 하위고과에 반영하려는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입장을 정리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노조가 발견, 사측 "개인정보 유출 아냐"
'NJ 리스트'에는 집행부 근무시간 기록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전 직원의 연봉과 고과 등 개인정보가 담긴 공용 폴더가 한때 접근 제한 없이 노출됐다며 노동조합이 회사를 당국에 신고했다. 이 폴더에 노동조합 집행부의 출퇴근 기록도 담겨 있다는 이유로 노조는 사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전 직원 인사정보 누구나 볼 수 있었다"
삼성그룹 초기업 노동조합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가 9일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에 제출한 신고서에 따르면, 노조 집행부는 지난 6일 업무용 공용 폴더 내에 전 직원의 인사 정보가 노출돼 있는 정황을 발견했다. 아무런 권한이 없어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이라면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상태였다. 이 폴더에는 전체 직원의 주민등록번호, 학력, 연봉, 고과, 집 주소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었다고 한다.
노조가 사측에 이 사실을 알리면서 폴더 접근은 차단됐다. 하지만 얼마나 오랫동안 폴더가 공개돼 있었는지, 몇 번이나 열람됐는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노조 관계자는 "원래는 액세스(접근) 권한이 있는 폴더였다"며 "서버 이관 작업이 있었고, 이관이 잘됐는지 확인하던 중 관련 자료를 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노조는 노출 경위와 범위에 대한 조사, 재발방지 대책 논의를 사측에 요청했지만, 사측이 응하지 않았다고 했다. 사측은 대신 이날 노조 측에 "개인정보 유출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노조는 이미 내려받은 자료를 볼 수 없도록 사측이 7일 노조 집행부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원격으로 차단하고, 물리적으로 컴퓨터 회수를 시도했다고도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회사의 경영 비밀, 인사 정보를 노조가 무단으로 다운로드하고 열람했다'며 적반하장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직원별 통상임금 소송 참여 여부 표시
노조는 해당 폴더에서 발견한 파일을 근거로 '노조 사찰'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엑셀 파일에는 'NJ(노조) 리스트'가 들어 있었는데, 박재성 지부장을 비롯해 조직국장, 사무국장의 사업장 출입 기록과 허위입력 근무시간이 정리돼 있었다는 것이다. "휘트니스 이용 시간 축소" "1시간 이상 사외 체류시간 휴게시간 미반영" 같은 문구도 적혀 있었다고 했다. 박 지부장은 "노조 집행부를 NJ로 표현하고 카페 이용 시간을 꼬투리 잡아 월급을 회입하려 한 시도"라고 주장했다.
또 직원 명단에는 통상임금 소송 여부가 표시돼 있기도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1,279명은 지난해 과거 명절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 소송에 참여했는지를 구분해 놓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통상임금 소송 여부를 하위고과에 반영하려는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입장을 정리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