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369849_001_20251113121017207.jpg?type=w800


서울시가 인공지능(AI)과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결합한 '지능형 행정자동화' 체계를 추진하면서 업무시간을 최대 67% 가까이 단축했다.

서울시는 2021년부터 RPA를 도입해 행정 효율화를 추진해왔다. 보고서 취합, 감염병 통계 DB 구축, 물가정보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총 13건의 행정업무를 자동화했다.

특히 시는 올해부터 하이퍼클로바X, 챗GPT 등 생성형 AI 기술을 RPA에 접목해 단순 자동화를 넘어 문서 요약·데이터 정리 등 비정형 업무까지 자동화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청소년정책과는 포털 게시판을 직원이 직접 살피던 기존 방식 대신, RPA로 가출 의심 게시글을 자동 수집·분류하고 AI로 감정·상황을 분석해 상담 문안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로써 24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졌고 초기 대응 속도가 크게 빨라졌다.

서울시는 올해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연말정산·보험료 정산 자동화 △전기 관련 행정처분 현황 관리 △소득자료 분류 및 원천징수 관리 등 총 5건의 신규 과제를 추가 발굴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사람이 하면 월 1130시간이 소요되던 업무를 538시간으로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전체 업무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약 3명분의 인력을 로봇이 대신한 셈이다.

'연말정산 자동화'는 현장 근로자의 급여·보험 정산에 RPA를 적용해 매년 반복되던 수작업 입력을 줄이고 처리 속도와 정확도를 높인 사례다. 공원관리·환경미화·안전관리 등 다른 현장근로자 관리 부서로도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서울시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반복 업무는 AI·로봇이 맡고 공무원은 기획·분석에 집중할 수 있는 '사람 중심 지능형 행정'을 구축하겠다”며 “행정자동화는 인력 대체가 아닌 더 나은 행정을 위한 디지털 혁신 기반”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