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8181762993632_20251113120114044.png?type=w800

올해 시행계획 대비 17.1% 증액 추진
기본연구 복원, 연구기간 확대 등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6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이 올해 대비 17.1% 증가한 2조7362억원으로 정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6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이 마련됐다. 총 2조7362억원으로 올해 대비 17.1% 증가한 금액이다.

13일 과기정통부는 기초연구사업 추진위원회를 열고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와 함께 2026년 1차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기초연구 생태계 회복을 위해 예산과 지원 과제를 크게 늘렸다. 전체 지원 과제 수는 1만5800여 개로 전년 대비 28.2% 증가했다. 신규과제는 7000여 개로 전년 대비 86.2% 늘어 많은 연구자가 지원받게 된다.

2026년 기초연구사업은 다섯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먼저 기본연구 복원을 통해 연구 안전망을 강화한다. 생애기본연구 사업이 종료된 이후 축소됐던 기본연구를 다시 마련했다. 1150억원 규모로 2000개 내외 신규 과제를 지원한다. 초기 임용 교원과 경력 단절 연구자, 지방 소재 연구자를 우대해 기반 형성을 돕는다.

연구기간 확대도 추진된다. 기본연구와 핵심연구 유형A는 최대 5년까지 지원해 장기 연구를 보장한다. 신진연구 유형A는 기존 1년에서 최대 3년으로 늘렸다. 연구 성과가 우수한 과제는 후속연구를 통해 추가 지원한다. 후속연구는 선행과제보다 연구비를 늘리고 최대 두 차례 지원한다.

국외 체류 연구자의 복귀를 촉진하기 위해 세종과학펠로우십에 복귀·유치 트랙을 신설한다. 200명 내외 연구자가 국내 기관에서 안정적으로 연구하도록 연 1억3000만원 내외 연구비를 5년간 지원한다. 개인연구 과제에는 영문 연구계획서 접수를 전면 도입한다.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도 외국 국적 연구자까지 확대해 국내 정착을 지원한다.

리더급 연구자 지원도 강화한다. 리더연구 신규과제는 2025년 6개에서 2026년 19개로 늘어난다. 리더연구 내 탑티어 유형을 신설해 연 16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선도연구센터는 분야별로 연구비를 상향해 세계적 연구 집단으로 발돋움하도록 한다. 대학부설연구소 육성을 위해 국가연구소 NRL 2.0을 네 곳 추가 선정한다. 지역 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트랙을 마련해 이 중 두 곳을 지역에 배정한다.

연구자들이 장기적으로 창의 연구에 집중하도록 평가 제도가 개선된다. 단계평가 주기를 5년으로 확대해 대부분 유형에서 단계평가를 폐지한다. 리더연구는 단계평가를 한 차례만 진행한다. 선정평가 절차도 간소화한다. 평가 인력 확보를 위해 전문평가단 규모와 RB 분야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자 이해를 돕기 위해 오는 19일 온라인 설명회를 연다. 수도권과 호남권, 충청권, 영남권에서는 11월에 찾아가는 설명회를 진행한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은 "연구자들이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연구 생태계 조성에 중점을 뒀다"며 "기초연구가 훼손된 시기를 지나 다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