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251113070200017_01_i_P4_20251113120117234.jpg?type=w800

과기정통부, 2조7천362억원 규모 내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발표

2026년도 기초연구사업 예산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기본 연구를 복원하고 연구 기간을 확대한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내놨다.

해외 연구자 복귀 지원 트랙을 신설하고 단계평가 주기를 5년으로 확대해 대부분 과제에서 단계평가를 없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이같이 개편된 총예산 2조7천362억원 규모의 기초연구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예산 규모는 전년 대비 17.1% 증가했으며 지원 과제 수도 전년 대비 28.2% 증가한 1만5천851개로 늘었다. 신규 과제 수도 전년 대비 86.2% 늘어난 7천22개로 늘었다.

우선 2024년 신규 과제를 선정하지 않아 폐지됐던 기본 연구를 1천150억원 규모로 복원해 2천개 내외 신규 과제를 지원한다.

연 7천만원을 지원하는 B과제와 생애 첫 수행 연구자 및 경력 단절 연구자를 위해 연 5천만원을 지원하는 A과제를 지원하고, 지방 소재 연구자는 우대하기로 했다.

연구과제의 연구 기간도 기존 1~3년에서 3~5년으로 늘린다.

과거 창의연구를 대체하는 핵심 연구 유형A는 1~3년에서 1~5년으로 연장하고, 신진을 위한 씨앗 연구는 신진 연구 유형A로 대체해 1년에서 1~3년으로 늘린다.

연구 성과가 우수한 과제에 대해 일정 기간 추가 지원하는 후속 연구도 제공한다.

해외 연구자 복구 유도와 외국인 박사급 인력 국내 유치를 위해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업인 세종과학펠로우십 내 '복귀·유치' 트랙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200명 내외 인원이 연 1억3천만원 내외 연구비를 5년간 지원받는다.

또 개연 연구 과제에서 영문 연구 계획서를 도입하고 내국인에게 한정했던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도 지원 대상을 외국 국적 소지자까지 확대해 외국인 연구자 국내 정착을 촉진하기로 했다.

리더 연구에서는 매년 16억원 내외를 지원하는 탑티어 유형을 신설하고 선도연구센터의 센터당 연간 연구비를 상향한다.

대학부설연구소 육성을 위한 국가연구소(NRL 2.0) 4곳을 추가 선정하며 지역 트랙을 신설해 이 중 2개 과제를 할당한다.

또 새 과제부터 단계평가 주기를 5년으로 확대해 연구 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는 단계평가를 폐지하고 리더 연구의 단계평가 횟수도 2회서 1회로 축소한다.

선정평가도 연구자 부담 완화를 위해 평가 단계를 축소하거나 연구개발계획서 분량·양식을 간소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전문평가단 규모 및 리뷰 보드(RB) 분야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등 우수한 평가 인력을 확보해 평가의 질적 수준도 키우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시행계획을 12일 기초연구사업 추진위원회에서 확정하고 13일 신규 과제를 공모했다고 밝혔다.

연구자 설명을 위해 19일 온라인 사업 설명회를 열고 25일 수도권, 26일 호남권, 27일 충청권, 28일 영남권에서 찾아가는 설명회도 개최한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은 "내년 역대 최대 규모의 기초연구사업은 연구자들이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걱정 없이 장기·안정적으로 연구하도록 보장함으로써 다양성과 수월성이 공존하는 기초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이를 통해 R&D 예산 삭감 과정에서 훼손된 기초연구 생태계가 완벽히 복원되고, 이를 넘어 질적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초연구사업 공고 일정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hj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