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데일리 배태용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13일 'K-배터리 표준화 포럼' 활성화를 위한 '이차전지 표준화 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와 순환경제 기반 마련을 위해 상용·차세대·사용후 이차전지 전 분야에서 체계적인 표준화 작업에 나선다.
이번 전략은 포럼에 참여한 국내 산업·학계·연구기관 전문가들이 공동 마련한 것으로 2030년까지 국제표준 9종, 국가표준 10종, 단체표준 6종을 개발하는 구체적 계획이 포함됐다.
국표원은 먼저 상용 이차전지 분야에서 셀의 열폭주 발생 가스 분석방법, 상태 정보 분석방법, 양극재·음극재 등 핵심 소재 성분 분석방법 관련 표준을 제정한다. 또 선박·드론·로봇·건설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터리 사용이 급증하는 만큼 각각의 안전 요구사항 표준화도 새롭게 추진한다.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해 전고체전지 고체전해질 분석방법, 리튬황전지 및 소듐(나트륨)이온전지 성능·안전 요구사항에 대한 표준화도 병행한다. 국내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 중인 차세대 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규격을 선점할 수 있도록 표준 개발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사용후 전지·순환경제를 위한 재사용·재활용 및 탄소발자국 표준도 마련했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시장이 커지는 사용후 전지 분야에서는 용어 정의, 운송·보관 지침, 재제조·재사용·재활용 표준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의 탄소발자국 산정방법 등을 주요 표준 개발 과제로 제시했다. 이는 사용후 전지 산업 생태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배터리 순환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산업계 수요 기반으로 마련된 이번 표준화 전략이 실행되면 배터리 안전성과 신뢰성이 대폭 향상될 것"이라며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2050 탄소중립 달성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