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도로보틱스 국내 최초 FDA 'NAY' 코드 획득내시경 수술로봇 개발 기업 엔도로보틱스가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국내 최초로 의료기기 분류코드 'NAY'를 획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성과가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강소특구)의 기술창업 생태계가 본격적인 글로벌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13일 밝혔다.
홍릉 강소특구. 홍릉 강소특구 누리집
FDA 'NAY'는 다빈치 로봇 등 로봇제어 수술시스템에 부여되는 코드로, 엔도로보틱스는 내시경에 탈부착 가능한 수술로봇시스템을 개발해 정밀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번 승인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의 법적·기술적 기반을 확보했으며, 약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도 마무리 단계에 있다. 누적 투자액은 500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홍릉 강소특구는 KIST·고려대·경희대 등을 중심으로 2020년 지정된 디지털 헬스케어 특화 클러스터다. 지난 4년간 △투자유치 659억 원 △기술이전 110건 △신규 창업 76건 △연구소기업 39곳 설립 △매출 183억 원 등 실질 성과를 냈으며, 올해 연차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해외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특구 내 연구소기업 큐어버스는 지난해 이탈리아 안젤리니파마에 5000억 원 규모 기술수출을 성사시키고, 올해 6월에는 미국 FDA 임상 1상 승인을 획득해 글로벌 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창업학교' 등 공공기술 기반 창업 프로그램을 확대해 기술 발굴부터 후속투자,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구혁채 제1차관은 "강소특구를 통해 연구성과가 창업으로 이어지고, 창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내는 생태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성과가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강소특구)의 기술창업 생태계가 본격적인 글로벌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13일 밝혔다.
FDA 'NAY'는 다빈치 로봇 등 로봇제어 수술시스템에 부여되는 코드로, 엔도로보틱스는 내시경에 탈부착 가능한 수술로봇시스템을 개발해 정밀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번 승인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의 법적·기술적 기반을 확보했으며, 약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도 마무리 단계에 있다. 누적 투자액은 500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홍릉 강소특구는 KIST·고려대·경희대 등을 중심으로 2020년 지정된 디지털 헬스케어 특화 클러스터다. 지난 4년간 △투자유치 659억 원 △기술이전 110건 △신규 창업 76건 △연구소기업 39곳 설립 △매출 183억 원 등 실질 성과를 냈으며, 올해 연차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해외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특구 내 연구소기업 큐어버스는 지난해 이탈리아 안젤리니파마에 5000억 원 규모 기술수출을 성사시키고, 올해 6월에는 미국 FDA 임상 1상 승인을 획득해 글로벌 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창업학교' 등 공공기술 기반 창업 프로그램을 확대해 기술 발굴부터 후속투자,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구혁채 제1차관은 "강소특구를 통해 연구성과가 창업으로 이어지고, 창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내는 생태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