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 이사회 구조에 우려 뜻 밝혀
“내부인재 키워야 KT 지배구조 단단해져”
“내부인재 키워야 KT 지배구조 단단해져”
구 전 대표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지배구조 핵심은 사외이사 숫자나 권한이 아니라 유능한 대표이사 후보를 키우고 정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 건강한 구조”라고 강조했다.
구 전 대표는 2022년 KT 대표 연임 과정에서 있었던 일을 들며 “우수한 경영성과에도 타의로 KT를 떠나야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3년 전 KT에서 벌어진 일들은 우리나라 기업 역사상 한 번도 없었던 일이며,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었다”며 “정관에 따라 추천된 대표이사 후보를 외부에서 개입해 사퇴시키고, 사외이사들까지 사퇴하도록 하여 무려 6개월 동안 대표이사도, 이사회도 없는 기형적 경영 공백이 만들어졌다”고 지적했다.
구 전 대표는 “올해 초 주총에서는 내년도 임기만료 예정 이사들이 임기 만료된 이사 4명 전원을 다시 추천해 선임하도록 하고, 정관에도 맞지 않는 인사권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을 이어왔다”며 현 이사회를 비판했다. 이어 “KT의 지배구조가 왜곡된 결과로 탄생한 이사회로부터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한다면, 이는 3년 전 사태를 직접 경험한 사람으로서 온당한 길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회사가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고 해서 전임자가 다시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구 대표는 “KT 내부에는 현재도 충분히 역량 있는 후보들이 많이 있고, 충분히 문제를 해결하고 회사를 이끌 수 있다고 본다”며 “내부 인재가 선택될 때 KT의 지배구조는 비로소 단단해 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직원들의 열정을 끌어내지 못하는 CEO는 아무리 똑똑해도 성공할 수 없다”며 “KT 구성원을 존중하고 내부 인재의 역량을 믿으며, 조직을 건강하게 이끌 수 있는 대표가 선임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